총 27개
-
함석헌의 철학과 종교세계2024.09.121. 한국 철학 1.1. 서론: 한국 철학에 대한 인식 "한국 철학에 대한 인식은 그간 객관적이고 긍정적이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한국 고유의 철학 전통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잘 모르거나, 있다고 하더라도 그 중요성을 인정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철학이라고 하면 우선 서양 철학가들인 데카르트, 니체, 사르트르 등을 떠올리며, 한국 철학은 생소하고 낯선 개념으로 여겨왔다. 이는 식민지 시기 및 그 이후에도 지속되었던 서양 중심적 사고방식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 동안 일본의 지배하에서 한...2024.09.12
-
한국근대사 감춰진이야기2024.09.191. 한국근대사 인물 재평가 1.1. 흥선대원군 조사 및 재평가 1.1.1. 서론 흥선대원군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대한제국의 추존왕이다. 『매천야록』에 따르면 그는 1863년 어린 고종을 대신하여 1873년까지 10년 동안 국정을 이끌었다고 기록되어있다. 흥선대원군 이하응(1821~1898)은 통상수교거부정책으로 인해 일명 '쇄국의 아이콘'으로 불린다. 우리나라 역사 속 인물 중 재평가해야 할 인물로 흥선대원군을 선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흥선대원군은 교과서에서 비중 있게 다루는 인물이다. 그는 수많은 정치...2024.09.19
-
방송대 교육학과 교육사상가 분석2024.09.141. 서론 고대 서양 철학에서 인간의 본성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시작으로 인간의 이성, 실재 등에 관한 고찰은 인류와 함께 발전해왔다. 이를 시작으로 인간은 끊임없이 자아를 성찰하여 개인의 의미와 삶의 의미를 찾고자 노력해왔다. 옛 성인들의 사상에는 앞으로 우리가 추구해야 할 모습이 담겨있고 그렇기 때문에 과거를 돌아보고 성찰해야 하는 것이다. 현대 교육은 다양한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개성을 존중하면서도 모두가 조화를 이루어 살아가는 것을 목표로 삼고 행해져야 한다. 개인주의 및 이기주의가 극심해지고 물질만능주의가 팽배해지면서 ...2024.09.14
-
퇴계이황 역사적사건2024.10.101.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교육철학 1.1.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생애 1.1.1. 퇴계 이황의 생애 퇴계 이황(1501~1570/연산군 7년~선조 3년)은 무오사화(1498), 갑자사화(1504), 기묘사화(1519), 을사사화(1545) 등으로 나라가 피폐해지고 갈등이 난무하던 사화의 시대에 살았던 학자이다. 그래서 더욱이 학문을 가르치는 일에 힘쓸 수밖에 없었다. 이황은 경북 안동에서 7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나 홀어머니에게 길러졌으며, 그는 다른 유생들과 달리 시험에 나올 것들만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학문의 깊은 ...2024.10.10
-
퇴계이황 시대적배경2024.10.101. 퇴계 이황의 선비정신과 교육사상 1.1. 퇴계 이황의 선비정신 1.1.1. 선비란 무엇인가 우리말 명사인 '선비'는 『유교대사전(儒敎大事典)』에 의하면 '상고시대'부터 우리나라에서 고신도를 배경으로 내려온 문무를 겸비한 이상적 인간상으로 관제화 된 이후에 관직명으로 사용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일반적 학자의 통칭이었다'라고 풀이되어 있다. 그리고 신채호의 말을 인용하여 '선비'는 '선인(仙人)'으로, '선(仙)'은 음을 '인(人)'은 뜻을 빌어 이두로 표기한 것이라고 하였다. 즉, 선비는 단군 조선에서 유래하였으며 고구려의 ...2024.10.10
-
서울 미술 임용고시 선사~고려, 조선초중기 회화2024.10.261. 고분벽화와 회화 1.1. 고구려 고분벽화 1.1.1. 구조와 형식 고구려 고분벽화의 구조와 형식은 다음과 같다. 품字형 다실묘, 呂字형 2실묘, 口字형 단실묘 등 다양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품字형 다실묘는 다실로 구성된 묘실 형태이며, 呂字형 2실묘는 두 개의 실로 구성되어 있다. 口字형 단실묘는 단일 실로 구성된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묘실이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고구려 토착 문화와 불교 양식의 영향을 받아 변화하는 과정을 거쳤다. 초기에는 토착신앙과 불교의 영향이 나타나다가, 점차 불교가 주류를 이루고 도교 문...2024.10.26
-
인체안의 전쟁 족보2024.10.211. 조선시대 전란과 질병의 발생으로 인한 인구통계의 변화 그리고 의학의 인식적 측면 1.1. 조선시대 인구 통계에 대한 고찰 조선시대 인구 통계에 대한 고찰이다. 과거엔 현재보다 더욱 인구가 즉 국력과 연결될 만큼 인구 수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던 시기였다. 그 이유는 당시 주된 생계유지 방법인 농업은 사용되는 토지 대비 확보되는 식량은 비교적 적은 편이었고 한정된 영토와 자원은 국가의 발전을 저지하는 요인이었기 때문에 군사력을 기반으로 한 다른 국가의 자원을 빼앗아 오는 것이 자원을 확보하기 가장 쉬운 조건이었다. 조선시대...2024.10.21
-
쟁점한국사 독후감2024.10.261. 서학(西學)의 유입과 한국 철학에 미친 영향 1.1. 서학의 유입과 조선 사회에의 파급 서학(西學)은 1603년 중국을 거쳐 조선으로 전해졌다. 마테오리치와 루제리 신부에 의해 중국에 전해진 서학은 1630년경부터 조선에서 본격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서학은 두 가지 측면에서 조선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첫째는 과학기술적 측면이고 둘째는 천주교라는 종교적 측면이었다. 먼저 과학기술적 측면에서, 서양의 발달된 무기제조술, 천문역법 등은 조선 지식인들의 관심을 끌었다. 이들은 이러한 기술들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자 노...2024.10.26
-
왕의 한의학 독후감 조선 왕실 한의학2024.10.161. 서론 조선 왕조는 우리 역사에서 마지막 왕조였다. 태조부터 순종까지 27명의 역대 왕이 승계하면서 약 오백년간 지속되었다. 그들은 단순한 권력자가 아니라 하늘과 땅, 그리고 만백성을 연결하는 존재였다. 나라의 모든 변화는 왕에게 반영되었고, 왕은 그 변화에 대응하는 책임을 져야했다. 즉 왕들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모든 변화를 자신의 마음과 몸으로 견뎌 냈다. 세계 기록 유산으로 남아 있는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는 왕의 일상생활과 약물 처방 및 증상을 세밀하게 기록하고 있다. 왕의 건강과 질병 치료는 무엇보다 ...2024.10.16
-
한국의 제지술2024.10.271. 제지 기술과 인쇄술의 역사 1.1. 동양에서의 종이 발명과 전파 종이는 약 2000년 전 중국에서 처음 발명되었다. 채륜이라는 중국인이 식물의 섬유를 가공하여 종이를 만들어 냈으며, 이후 중국 문화권에서 이 기술이 발전하였다. 중국에 인접했던 한반도에서도 이 시기부터 종이를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 시대에는 승려 담징이 일본으로 건너가 종이와 먹, 채색 기술을 전한 기록이 있어, 삼국 시대부터 한반도에서도 제지 기술이 발전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고려 시대에는 제지 기술이 크게 발달하였다. 고려의 제지 기술은 주...202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