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6개
-
참된그리스도인2024.09.151. 서론 1.1. 새신자 반의 배경 저자는 이 책을 통해 한 생명이 태어나 장성한 어른이 되기까지 필요한 것을 이야기해주고 있다. 저자는 참된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은 죄의 회개와 그리스도를 구원자로 영접하므로 시작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믿음으로 모든 것이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자녀로 건강하게 자라기 위해서는 구원의 확신이 있어야 하며, 하나님과의 깊은 교제를 해야한다고 말한다. 또한 성도들과의 관계에서도 신앙 안에서 교제하므로 자기의 영적인 부분이 발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권면하고 있다. 저자는 전도에 대해 강력하...2024.09.15
-
훈련으로 되는 제자2024.09.171. 제자 1.1. 성서적 해석 및 그리스도인의 신분 제자란 단순히 예수 그리스도를 따라가는 추종자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신앙과 소명에 대한 확신과 더 높은 차원의 신분과 복음의 사역자로서의 사명이 있는 사람을 말한다. 마태복음 28장 16절에서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으라 하신 예수님의 말씀을 생각해볼 때, 제자는 세계복음화의 사역을 위하여 어디서나 어느 민족에게나 자신의 제자를 삼는 재생산의 사역자가 되는 것이다. 또한 예수님의 선교사역 처음에 제자들을 부르실 때에 그들에게 특별한 사명을 주시면서 부르신다. 사람을 낚...2024.09.17
-
칼빈의 성화론2024.09.171. 서론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성화론의 연구에 있어서 칼빈을 선택할 만한 이유는 네 가지로 고찰해 볼 수 있다. 첫째, 성경의 권위가 점차 약해져 가고 있는 현재 우리 시대를 바라봄에 있어서, 칼빈이 성경적인 기초 위에 교회를 개혁했다는 것은 큰 도전을 주기 때문이다. 둘째, 그가 교리와 삶의 일치를 강조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사람들이 그들의 삶을 통제하는 어떤 규범도 거절하는 시대에 우리가 살고 있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셋째, 칼빈이 차가운 정통주의와 열광적인 오순절...2024.09.17
-
제자훈련이란 무엇인가2024.09.231. 제자도와 영성 형성 1.1. 제자도와 영성의 관계 제자도와 영성의 관계는 매우 밀접하다. 그리스도인과 비그리스도인 사이에는 거대한 괴리가 존재하는데, 이는 그리스도인들의 믿음에 대한 실천 부족으로 인한 실망감 때문이다. 우리는 예수님의 제자이다. 제자란 배우는 자, 학생, 도제를 의미한다. 그리스도의 제자란 하나님 나라의 삶에 대한 깊어 가는 이해를 이 땅에서 자기 것으로 고백하고 적용하는 사람이다. 그러나 현대 교회에서는 제자가 되지 않아도 영원히 그리스도인으로 살 수 있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과연 무엇이 우리의...2024.09.23
-
누가나의 이웃인가 (존스토트2024.09.231. 그리스도는 누구인가 1.1. 그리스도 자신의 주장 그리스도 자신의 주장은 크게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예수 그리스도는 자신의 가르침에서 끊임없이 자기 자신에 대하여 말하며, 자신이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위치와 권위에 대하여 자신 있게 드러내고 있다. 그는 자신이 하나님의 아들이며 하나님과 특별한 관계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둘째, 예수 그리스도는 자신이 구약 성경에서 예언된 메시아임을 직접 주장하였다. 셋째, 예수 그리스도는 자신에 대한 것은 곧 하나님에 대한 것이라고 말하며, 자신에 대한 아는 것, 본 것, 믿는 ...2024.09.23
-
설교2024.09.251. 설교와 설교자 1.1. 설교의 쇠퇴와 몰락 설교의 쇠퇴와 몰락은 현대인들의 교육 수준 향상과 대중매체의 발달로 인해 사람들이 더 이상 설교에 의존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설교가 유일한 지식 및 정보의 창구였지만, 오늘날에는 책을 읽거나 라디오, TV 등을 통해 쉽게 진리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와 함께 교회 내부적인 요인들도 설교의 쇠퇴를 가져왔다. 첫째, 성경의 권위에 대한 믿음이 사라지고 진리에 대한 신뢰가 약화되었다. 성경의 권위가 상실되면 설교할 수 있는 토대가 무너지게 된다. 둘째,...2024.09.25
-
기독교 강요 인간론2024.10.271. 신학의 방법과 이해 1.1. 신학의 개념과 역사 신학의 개념과 역사는 다음과 같다. 신학이란 본래 그리스 철학자들이 신들에 대한 이야기를 철학적으로 해명하거나 만유의 궁극적 원인을 추구하는 철학적 우주론을 지칭하는 말이었다. 초기 교부들은 그리스도교의 진리를 그리스 사상과 차별화하기 위해 의식적으로 신학이란 말을 사용하지 않았다. 동방교회에서는 7세기에 요하네스가 정교회 신앙을 해설한 "지식의 원천"을 펴냈다. 반면 서방교회의 스콜라 신학은 신학의 체계화에 박차를 가한다. 종교 개혁자들도 교의학의 필요성을 인식했고 개신교 ...2024.10.27
-
요한계시록연구2024.10.131.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숫자에 관한 연구 1.1. 요한계시록에 드러난 숫자의 상징적 의미 1.1.1. 일곱 교회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일곱 교회는 당시 소아시아 지역에 실재하던 교회들로, 요한은 이들 교회의 영적 상태와 처해있는 상황에 따라 각각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일곱 교회는 에베소, 서머나, 버가모, 두아디라, 사데, 빌라델비아, 라오디게아 등으로, 이들 교회는 지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었을 뿐만 아니라 교회사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요한계시록에서 숫자 "일곱"은 완전성과 하나님의 구원 계획의 완성...2024.10.13
-
바울서신의 가르침이 오늘날 교회에 적용점2024.10.081. 바울서신 이해하기 1.1. 바울서신의 특징 바울서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바울의 편지들은 교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별한 상황에서 쓰인 서신들이다. 바울은 그들을 그리스도 안에서 사랑으로 맺어진 형제들로 생각했기 때문에 '편지'라는 세계 속에서 사람들과 만나고, 감정을 교감하며, 호소하고 권면하며 설득하고 경고하는 일까지 하였다. 따라서 바울의 모든 편지들은 '러브레터'라고 할 수 있다. 바울 시대에는 다양한 목적으로 서신들이 사용되었다. 바울은 헬레니즘 시대의 편지 형식들을 사용하면서도 자신의 선교적이며 목회적인...2024.10.08
-
낙태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들과 성경적인 견해를 비교하며 논하시오2024.10.161. 기독교윤리학개론 1.1. 기독교윤리학의 의미와 특징 기독교윤리학은 그리스도인들이 인간으로서 지켜야 할 윤리적 규범들이 하나님과 그의 창조세계와 연관되어 규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독교윤리학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윤리학은 성서와 교회, 그리고 인간의 사회와 경험하는 세계를 기독교윤리학의 근거로 의미를 갖는다. 성서는 기독교윤리의 최고 권위이자 규범이 되며, 교회는 기독교 공동체로서 윤리 실천의 장이 된다. 또한 인간의 실존적 삶의 세계도 윤리학의 대상이 된다. 둘째, 기독교윤리학은 선악의 구분과 옳고...2024.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