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한국어 자음 모음2025.02.151. 서론 1.1. 자음과 모음의 정의 자음은 공기의 흐름이 입 안이나 혀 등에서 장애를 받아 만들어지는 소리이다. 즉, 폐에서 나오는 공기가 입 안의 장애물에 의해 방해를 받으면서 발생하는 소리를 자음이라고 한다. 반면, 모음은 공기의 흐름이 장애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빠져나오면서 조음되는 소리이다. 모음은 조음기관을 접촉하지 않고도 음절을 형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발음 과정에서 자음과 모음은 서로 다른 조음 작용을 거치며, 이로 인해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니게 된다. 1.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한국어의 자음과 ...2025.02.15
-
영어발음원리2024.10.141. 구강음의 발생 원리 1.1. 입 안의 구조 입 안의 구조는 구강음이 어떻게 조음되는지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이다. 공기가 성문을 지나 인두(후두 바로 위)를 통과하면 인두에서 비강(코)과 구강(입)의 두 갈래 길로 나뉘게 된다. 이 때 입 안의 부드러운 입천장인 연구개(soft palate)가 인두강벽을 막아서 공기가 입으로 배출되면 이 소리를 구강음(oral sound)이라고 한다. 즉, 연구개가 인두강을 막아 공기가 비강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구강으로만 배출되도록 하여 구강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1.2. 연구개와 인두강...2024.10.14
-
언어기관해부생리2025.06.121. 언어기관해부생리 1.1. 해부학의 기초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이 해부학이다. 해부학은 인체의 형태학적(내부 및 외부) 구조를 연구하는 학문이며, 인체 구조의 기능과 연관된 학문이다. 인체의 구조적 체계는 화학단계(세포), 조직단계, 기관단계, 계통단계, 유기체 단계로 구분된다. 조직은 공통의 기능을 수행하는 유사한 세포들의 집단 또는 층을 말하며, 인체는 상피조직, 결합조직, 근육조직, 신경조직의 4가지 기본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뼈는 치밀골조직과 해면골조직으로 구분되며, 혈액세포 생산과 체중을 지탱하는 역할...2025.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