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배설간호2024.10.141. 배설과 영양 1.1. 배설 장애와 관련 질환 1.1.1. 요생성 장애 요생성 장애는 신장에서 소변 생성 능력에 문제가 있어 나타나는 장애이다. 요생성 장애에는 다뇨증, 핍뇨증, 무뇨증 등이 포함된다. 다뇨증(polyuria)은 하루 소변량이 2,500mL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을 말한다. 신장의 세뇨관에서 수분 재흡수가 되지 않거나 체내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과도한 수분 섭취, 카페인 섭취, 알코올 섭취, 당뇨, 항이뇨호르몬 결핍증, 만성 신장질환, 이뇨제 사용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다갈증, 탈수,...2024.10.14
-
섭취배설량2024.09.081.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 1.1. 목적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의 목적은 체내에서의 수분이동과 조절기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체내 수분 균형을 유지하는 것은 환자의 건강과 생명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히 측정하여 기록함으로써 환자의 수분 균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진단과 치료에 도움을 주고, 잠재적인 위험 상태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또한 배뇨습관과 비뇨기계 기능을 사정하고, 약물의 효과도 파악할 수 있다." 1.2. 적응증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의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수술 및 수술 후 ...2024.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