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개
-
설교2024.09.251. 설교와 설교자 1.1. 설교의 쇠퇴와 몰락 설교의 쇠퇴와 몰락은 현대인들의 교육 수준 향상과 대중매체의 발달로 인해 사람들이 더 이상 설교에 의존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설교가 유일한 지식 및 정보의 창구였지만, 오늘날에는 책을 읽거나 라디오, TV 등을 통해 쉽게 진리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와 함께 교회 내부적인 요인들도 설교의 쇠퇴를 가져왔다. 첫째, 성경의 권위에 대한 믿음이 사라지고 진리에 대한 신뢰가 약화되었다. 성경의 권위가 상실되면 설교할 수 있는 토대가 무너지게 된다. 둘째,...2024.09.25
-
복음적 설교를 위한 내용과 방법을 A4용지로 2매정도 작성해줘2024.10.141. 설교와 설교자 1.1. 설교의 정의 설교는 교회에서 왜 하는가? 설교는 교회가 하나님께로부터 전달받은 사명, 즉 복음을 선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설교는 하나님의 계시, 하나님에 관한 계시인 성경 말씀을 공개적으로 선포하고 확인하는 행위이다. 하나님께서는 설교자를 통해 하나님의 말씀, 즉 성경을 통하여 들려주는 오늘날의 우리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음성으로 들려지게 한다. 설교의 목적은 첫째, 크리스천들이 서로 양육하고 건강하게 보살피는 관계를 이루어 가는 참된 기독교 공동체를 형성하도록 하며 그 공동체를 기름지게 하는 것이다....2024.10.14
-
설교자란 무엇인가2024.11.301. 설교자란 무엇인가? 1.1. 설교자의 5가지 이미지 1.1.1. 청지기 설교자는 선지자가 아닌 청지기이다. 선지자의 본질적 특성은 하나님의 말씀을 대언한 것이지만, 설교자에게는 어떤 직통 계시도 주어지지 않는다. 오히려 그의 일은 진실하게 성령의 힘으로 설교하는 것이다. 설교자는 선지자들과 같은 수준으로 성령으로 '영감된' 사람도 아니다. 설교자는 사도가 아니다. 칼 하인리히 렝스톨프는 사도들이 유대교의 '샬리아킴'(shaliachim)과 상응한다고 주장한다. 신약의 사도는 "특별한 사명을 위해 선택되어 파송자의 전권을...2024.11.30
-
증언설교2024.12.171. 설교자의 역할과 기능 1.1. 설교자 정의와 역할 설교자는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의 일원"이며, "그들 곁에 서서 설교하도록 임무를 부여받은 사람들"이다. 설교자는 기본적으로 "하나님의 백성들로부터 나오는" 신앙 공동체의 일원이다. 설교자는 교회에서 지도력을 인정받았기에 신학교에 오며, 목회자로 훈련받지만, 설교자가 그리스도에 대한 이야기를 배운 곳은 교회이다. 이처럼 교회의 회중이 중요하고 설교자는 자신이 작성한 내용을 들고 회중 앞에 서 있지만, 그가 전하려는 내용은 회중들에 의해서 결정된 것도 설교자 자신에 의해 결정된...2024.12.17
-
증언으로서의 설교2024.12.171. 설교의 본질과 형태 1.1. 설교의 정의와 유형 1.1.1. 설교자의 정체성 설교자의 정체성은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첫째, 설교자는 "말씀의 전령(Herald)"이다. 마치 어떤 왕이 자신의 전령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듯이, 하나님께서 인간의 언어를 통해 인간의 언어로 말씀하시는 것을 의미한다. 전령은 좋은 메시지를 위한 투쟁과 교리에 대한 변증으로 회중을 설득하려 하기보다는 성경을 통해 받은 메시지를 단순하고 확신 있게 전한다. 이러한 전령의 이미지는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단순함과 확신을 강조하지만, 청중과의 커뮤니...2024.12.17
-
성경적인 설교와 설교자 5부 설교의 구조 요약해돈 로빈슨2024.11.161. 성경적인 설교와 설교자 1.1. 설교자의 소명 1.1.1. 성경적인 설교에 대한 확신 성경적인 설교에 대한 확신은 설교의 핵심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설교자는 성경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가져야 하며, 이를 통해 설교자로서의 소명을 깨닫고 구현해 나갈 수 있다. 먼저 해돈 로빈슨은 성경적인 설교자가 되기 위해서는 목회자들이 다음과 같은 일곱 가지 진리에 대한 확신을 가져야 한다고 말한다. 첫째,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것, 둘째, 성경 전체가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것, 셋째, 성경은 스스로 진정성을 입증한다는...2024.11.16
-
강해설교 주제설교2024.10.291. 설교에 관한 이해 1.1. 설교의 정의와 중요성 설교는 교회가 하나님께 전달받은 사명, 즉 복음을 선포하는 것이다. 설교는 하나님의 계시, 하나님에 관한 계시인 성경 말씀을 공개적으로 선포하고 확인하는 행위이다. 하나님께서는 설교자를 통해 하나님의 말씀, 즉 성경을 통하여 들려주는 오늘날의 우리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음성으로 들려지게 한다. 설교의 목적은 첫째, 크리스천들이 서로 양육하고 건강하게 보살피는 관계를 이루어 가는 참된 기독교 공동체를 형성하도록 하며 그 공동체를 기름지게 하는 것이다. 둘째, 비기독교인들과 명목상으...2024.10.29
-
강해설교 로빈슨2024.10.301. 강해설교의 의미와 중요성 1.1. 강해설교의 정의 강해설교의 정의는 "성경 본문의 배경에 관련하여 역사적, 문법적, 문자적으로 연구하여 발굴하고 알아낸 성경적 개념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성령께서 그 개념을 우선 설교자의 인격과 경험에 적용하시며 설교자를 통하여 다시 청중들에게 적용하시는 것"이다."강해설교는 단순한 방법론이 아니라 철학의 문제이다. 곧 성경 본문을 대하는 태도에 관한 문제이다. 설교자는 성경을 단순히 자신의 설교를 발굴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의 입장을 정당화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이전에 가졌던 성경에 대한...2024.10.30
-
헤돈 로빈슨 강해설교 요약 및 서평2024.10.301. 강해 설교에 대한 변론 1.1. 설교의 평가절하 설교자에 대해 일반인들은 더 이상 영적인 지도자로서 생각하지 않는다. 현대의 매스 미디어가 설교자의 열심으로 하루에도 수십 만 개의 메시지를 대중들에게 쏟아 붓고 있고, 사회가 신앙의 행위를 요구하는 이 시대에 신앙의 말씀들만 가지고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고 묻는 질문 앞에 강단에 서는 설교자 자신이 스스로를 충분한 권위를 갖고 있지 못하고 느끼고 있다. 이에 따라 설교자들은 설교 내용보다도 그 전달방법에 더 많은 노력과 공을 들이게 되어 메시지보다는 색다르고 신기한 방법에 심취...2024.10.30
-
헤돈 로빈슨2024.10.301. 설교의 기초 1.1. 설교의 정의와 목적 설교의 정의와 목적은 다음과 같다. 설교란 성경 본문의 배경에 관련하여 역사적, 문법적, 문자적으로 연구하여 발굴하고 알아낸 성경적 개념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성령께서 그 개념을 우선 설교자의 인격과 경험에 적용하고 또한 설교자를 통하여 그것을 다시 청중에게 적용시키는 것이다. 즉 설교의 핵심은 성경 본문에서 발견한 성경적 개념을 설교자의 삶에 적용하고 이를 다시 청중들에게 적용하여 전달하는 것이다. 설교의 목적은 사람들의 영혼을 설득하고 움직여서 주 예수 그리스도에게 향하게 함으...2024.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