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철하의이해2024.09.151. 맹자와 순자의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 1.1. 맹자의 성선설 맹자는 인간 본성의 선한 본성은 마음속에 존재하고, '인'의 시작이자 끝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선함을 가다듬으면 '덕'을 이룰 수 있으며, 덕을 기반으로 하여 공동체의 안정이 보장된다고 보았다. 맹자는 사람들은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이 한 사람의 '인간성'의 척도라고 단언한다. 맹자는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이 없으면 인간이 아니며, 사람에게 이 네 가지가 있는 것은 사람의 몸에 사지가 있음과 같다."고 하였다. 이를 통...2024.09.15
-
성악설2024.10.161. 서론 서론에서는 순자의 성악설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와 오해에 대해 설명한다. 순자의 성악설은 많은 이들에게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라는 단순한 해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이는 순자의 성악설을 표면적으로만 이해한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순자의 성악설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순자가 말한 '성(性)'과 '악(惡)'의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순자의 성악설을 단순히 기존의 해석과 같이 이해한다면 순자가 주장한 '교육론', '예론(禮論)' 등과 충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순자의 성악설을...2024.10.16
-
옥상의 민들레꽃 감상문2024.10.301. null 옥상의 민들레꽃 소설에 나타난 당시의 사회 현상과 작가의 메시지 옥상의 민들레꽃은 1970년대 후반 급격한 경제 성장으로 인해 발생한 사회적 문제들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소설 속 궁전 아파트 주민들이 보여주는 모습에는 당시 물질주의와 개인주의가 만연했던 사회상이 잘 드러나고 있다. 할머니들의 잇따른 투신자살 사건이 일어나자 주민들은 이를 수습하기 위해 모이지만, 그들이 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는 것은 아파트 가격 하락에 대한 우려일 뿐이었다. 이는 자신들의 재산 가치에만 관심을 가지고 있는 당시 중산층들의 이기적인...2024.10.30
-
19172024.08.161. 서론 1.1. 전쟁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전쟁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은 매우 부정적이다. 러시아의 문호 톨스토이는 "전쟁은 가장 비열하고 부패한 인간들이 그 속에서 힘과 영광을 얻게 되는 상황을 만든다"고 말했는데, 이는 전쟁에 대한 일반적인 부정적 인식을 잘 드러낸다. 그러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전쟁을 소재로 한 게임, 영화, 군용물품 등은 여전히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이는 전쟁에 대한 사람들의 이중적인 태도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운동경기나 경영에서도 전쟁 용어가 자주 등장하고 전쟁에 비유하는 경우가 많은데, ...2024.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