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0개
-
아동 울혈성심부전 간호과정2024.09.291. 심혈관계 질환 1.1. 선천성 심장질환 1.1.1. 정의 및 분류 선천성 심장질환은 출생 시부터 가지고 있는 해부학적 기형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심기능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선천성 심장질환은 임상적 결과에 따라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 첫째는 울혈성 심부전이며, 둘째는 저산소혈증이다. 선천성 심장질환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그 분류는 다음과 같다. 우심실 유출로 폐쇄질환(폐동맥 폐쇄, 폐동맥 협착 등), 좌심실 유출로 폐쇄질환(대동맥 폐쇄, 대동맥 협착 등), 심실 중격 결손, 심방 중격 결손, 팔로4징,...2024.09.29
-
신생아 TOF수술 후 간호과정2024.09.221. TOF 환자의 간호사례 연구 1.1. 서론 팔로네 징후(Tetralogy of Fallot, TOF)는 심장의 4가지 구조적 이상으로 구성된 선천성 심장질환이다. TOF 환자의 간호사례 연구는 이러한 TOF의 발생 원인과 증상, 진단 및 치료, 합병증과 예후 등 전반적인 이해를 통해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다." 이는 TOF 환자의 간호에 있어 질병의 정확한 이해와 함께 환자 개인의 특성과 상태를 고려한 맞춤형 간호중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OF 환자의 간호사례를 통해 TOF의...2024.09.22
-
ASD closure 케이스2024.09.201. 서론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이 환자의 심방중격결손증에 대한 실습을 통해 선천성 심장질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간호중재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방중격결손증은 전체 선천성 심장병의 4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높은 발생률을 보이는 질환이다. 환자의 연령이나 심한 정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심방중격결손증에 대한 이해와 함께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문제를 사정하고 이에 대한 간호중재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2024.09.20
-
ASD closure2024.09.221. 서론 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흉강 내 좌우 흉막사이의 종격에 위치하는 속이 비어있는 근육성 펌프기관이다. 심장은 두 폐 사이, 흉골과 늑연골 뒤, 식도와 흉대동맥 앞 및 횡격막 상부에 위치한다. 심장은 흉골 중앙선에서 2/3가 좌측으로 치우쳐 있다. 성인의 심장은 좌우 심방과 좌우심실로 4방으로 구성된다. 우심방은 전신순환으로부터 탈산화된 정맥혈을 받아들여 우심실로 보내며, 우심실에서는 폐동맥으로 펌프질을 한다. 좌심방은 폐정맥으로부터 산회된 동맥혈을 받아들여 좌심실로 보낸다. 좌심실은 체순환동맥으로 펌프질하게 ...2024.09.22
-
심혈관 및 호흡기장애2024.10.021. 호흡기계 장애 1.1. 해부생리 아동의 호흡기계는 성인과 매우 다르게 발달되어 있다. 영·유아기 아동의 호흡기계는 성장과 함께 점진적으로 발달하며, 이로 인해 다양한 호흡기 질환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아동의 호흡기계 해부학적 구조와 생리적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의 비강과 인두는 성인에 비해 좁고 작기 때문에 쉽게 폐쇄될 수 있다. 기도의 직경이 작아 기도 저항이 높고 이물질이나 부종에 의해 쉽게 폐쇄된다. 또한 코와 치아발달이 미숙하여 구호흡에 의지하게 되므로 코막힘이 발생하면 호흡곤란이 나...2024.10.02
-
신생아 TTN간호과정2024.10.311.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TN) 1.1. 정의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TN)은 일시적인 빈호흡을 주증상으로 하는 양성 질환이다. 태아는 폐 속에 폐액으로 차 있는데, 출생 후 이 폐액이 자연히 흡수되고 호흡을 하게 된다. 그러나 폐액의 흡수가 지연되어 폐 속에 물이 조금 남아 있는 경우, 호흡이 정상적이지 못하고 호흡곤란이 생겨 호흡이 빨라지게 되는 것이 TTN이다. 주로 만삭아에서 주로 발생하나 최근에는 미숙아에서도 나타난다. 1.2. 병태생리 태아의 폐는 출생 후와 같이 공기로 차 있는 것이 아니고 폐액으로 차 있다. 하지...2024.10.31
-
심실중격결손 심박출량감소2024.10.261. 심실중격결손(Ventricular Septal Defect, VSD) 1.1. 정의 및 특성 심실중격결손증(Ventricular Septal Defect, VSD)은 선천성 심장 기형의 20~30%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질환으로, 1,000명당 1명 정도의 발생률을 보인다. 이는 심장 우심실과 좌심실 사이에 있는 심실 중격에 구멍이 생기는 질환이다. VSD는 막양 부 결손, 동맥 하 결손, 근성부 결손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막양 부 결손은 가장 흔한 유형으로, 심실 중격 결손 중 가장 위쪽에 위치하며 결손의 위쪽...2024.10.26
-
선천성 심실중격결손2024.10.041. 서론 1.1. 선천성 심장질환의 정의 및 발생빈도 선천성 심장질환은 태아기 심장 발달 과정에 어떤 원인으로든 이상이 발생하여 출생 시부터 심장 구조나 기능에 이상이 있는 질환을 의미한다. 선천성 심장질환은 1,000명의 출생아 중 5~8명 정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영아 사망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이러한 선천성 심장질환은 약 10%가 염색체 이상이나 유전 질환과 관련이 있으며, 나머지 약 90%는 여러 가지 원인(모체의 당뇨병, 알코올 섭취, 임신 중의 풍진 감염, 40세 이상의 임산부 등)에 의해 발생...2024.10.04
-
선천성 심실중격결손 간호과정2024.10.041. 서론 1.1. 선천성 심장질환의 개요 선천성 심장질환의 빈도는 1,000명의 출생아 가운데 5~8명 정도로 발생하며 영아 사망의 중요한 원인이다. 선천성 심장질환의 원인은 분명하지는 않으나 약 10%가 염색체이상 혹은 유전질환과 관련이 있고, 나머지 약 90%는 여러 가지 원인(모체의 당뇨병, 알코올 섭취, 임신 중의 풍진 감염, 40세 이상의 임산부)에 의해 발생한다. 주요 선천성 소아 심장질환 발병률(2016년)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심실중격결손이 전체의 약 35%를 차지하여 선천성 심장질환 중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고 보...2024.10.04
-
선천성 심실중격결손 간호진단2024.10.041. 선천성 심장질환의 이해 1.1. 심실중격결손의 정의 심실중격결손은 우심실과 좌심실 사이의 벽(칸막이)에 비정상적인 개구부가 생긴 것이다. 위치에 따라 막양부 결손과 근성부 결손으로 분류 된다. 크기는 바늘구멍만한 크기부터 중격이 없어 단심실의 결과를 내는 정도까지 다양하다. 흔히 폐동맥 협착, 대혈관 전위, 동맥관 개존증, 심방 중격 결손, 대동맥 축착 등 다른 결손과 동반된다. 심실 중격 결손의 20~60% 정도는 자연 폐쇄되기도 한다. 주로 1세 이전에 발견되는 작거나 중간 정도 크기의 심실 중격 결손은 자연 폐쇄된다. ...2024.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