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모성및 아동의 건강문제의 주요 원인2024.10.271. 국제질병부담 보고서 1.1. 모성사망 1.1.1. 모성사망/모성사망비의 정의 모성사망은 임신이나 분만 중, 또는 출산 후 42일 이내에 산모가 사망하는 것을 의미한다. 임신이나 임신 관리와 관련된, 혹은 임신으로 인하여 악화된 문제로 사망한 경우를 뜻한다. 모성사망비는 신생아 10만명 당 산모의 사망률을 계산한 비율이다." 1.1.2. 모성사망의 실태 전 세계적으로 모성 사망의 99%는 저개발국가에서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는 주로 훈련받지 않은 조산원과 의료시설의 부족으로 인한 것이다. 특히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이 ...2024.10.27
-
태아 1부 만남 목차2024.10.091. 정상신생아 사례연구 1.1. 정의 및 생리적 변화 신생아기는 출생 후 첫 4주간을 의미한다. 신생아기는 태아기의 연속으로서 두 시기 모두 성장과 발달에 있어 유전적, 사회적,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출생 후 자궁 외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한 여러 생리적 적응현상이 완성되는 기간으로 매우 불안정하고 취약한 시기이다. 제태연령에 따라서 분류되는데 미숙아는 출생 시 체중과 상관없이 재태기간 37주 전에 태어난 영아를 말하고, 만삭아는 출생 시 체중과 상관없이 재태기간 38주와 42주 사이에 태어난 영아이고, 과숙아는 ...2024.10.09
-
아동 페닐케톤뇨증 사례연구2024.12.011. 페닐케톤뇨증의 간호 1.1. 사례 생후 15개월의 남아로 부모와 함께 내원하였다. 잦은 구토를 호소하였으며 운동 반사 등 발달 사정시 근긴장과 건반사가 항진되었으며 앉기나 뒤집기 걷기 등 또래 나이보다 성장이 지연됨을 확인할수 있었다. 외관상으로는 머리카락이 밝은 갈색을 띄었다. 그리고 엄마가"아이 오줌에서 곰팡이 냄새가 나요"라고 하였다. 부모와 상담하였을 때 아이를 출산한 후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상의 이상으로 병원에서 아이를 데리고 내원할 것을 권유하였으나,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병원을 가지 않았다고 하며 "우리 아이가...2024.12.01
-
현문사 아동 호흡2024.09.011. 고위험 신생아의 간호 1.1. 고위험 신생아의 분류 고위험 신생아의 분류는 크게 크기, 재태연령, 사망률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크기에 따라 저체중출생아, 극소저체중출생아, 초극소저체중출생아, 적정체중아, 주당경량아, 자궁 내 성장지연, 부당중량아로 구분된다. 재태연령에 따라 미숙아, 만삭아, 후기미숙아, 과숙아로 구분된다. 사망률에 따라 생존출생, 태아사망, 신생아 사망, 주산기 사망률로 구분할 수 있다. 이처럼 신생아의 건강과 생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고위험 신생아를 분류할 수 있다." 1....2024.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