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선천성 거대결장 간호과정2024.10.011. 서론 1.1. 필요성 선천성 거대결장은 모든 신생아 장폐쇄증의 원인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며, 선천적으로 발생하지만, 질환의 발생 부위에 따라 출생 직후 발견되는 경우부터 2~3세가 되어야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신생아 5,000명 중 약 1명에게 나타나고, 남아가 80%를 차지하며, 우리나라에서는 1년에 100명 정도 발생한다. 또한 다운 증후군(Down syndrome) 아동에서 더 흔하게 발생한다. 선천성 거대결장은 신경절의 선천적 결여로 인하여 대장의 연동운동 장애, 괄약근의 과긴장 등으로 장폐쇄가 나타...2024.10.01
-
히르슈슈프룽 병2024.10.011. 선천성 거대결장(Hirschsprung disease)의 이해 1.1. 정의 및 발생 기전 선천성 거대결장(Hirschsprung disease)은 장의 운동을 담당하는 장관신경절세포와 관련된 질환이다. 장관신경절세포는 엄마 배 안에 있을 때, 입에서 시작하여 항문으로 이동을 하지만, 어떠한 이유로 멈추어서면 그 아래쪽 장에는 신경절세포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신경절세포는 장의 이완과 관련된 운동을 하는데, 앞쪽 장이 수축할 때 뒤쪽 장이 이완되어야 음식물이 내려갈 수 있다. 신경절세포가 없는 장에서 음식물은 그 이하로 내려...2024.10.01
-
선천성 거대결장 케이스2024.12.141. 서론 선천성 거대결장은 모든 신생아 장폐색증의 약 1/4을 차지하고 있는 질병이다. 발병빈도는 살아서 출생한 아동 5,000명 중의 1명이며, 여아보다 남아에서 4배 더 많이 발생된다. 또한 약 10%에서 가족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생아는 출생 후 2일 이상 태변 배출이 늦어지거나 복부 팽만이 심해 수유 진행이 어렵고 구토가 지속되는 경우 선천성 거대결장 질환의 가능성을 고려해 보고 빠르게 치료를 해야 한다. 만약 치료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해 둔다면 복부팽만, 구토 등의 장폐색 증상을 보이고 이후 위험한 합병증인 소...2024.12.14
-
선천성 거대결장 케이스2024.12.141. 선천성 거대결장 1.1. 개요 선천성 거대결장은 태생기 발달 과정에서 장의 신경절 세포 이주 실패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로 인해 결장의 말단부에 신경절 세포가 존재하지 않아 장의 기능적인 폐쇄가 나타나게 된다. 정상적인 장 운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배설물의 통과가 원활하지 않으며, 변비, 복부팽만, 구토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선천성 거대결장은 모든 신생아 장폐색증의 약 1/4을 차지하고 있는 질환으로, 발병률은 생존아 5,000명 중 1명 정도이다. 남아가 여아보다 4배 더 많이 발생하며, 약 10%의 환자에서 가...2024.12.14
-
gastroschisis 간호과정2024.08.30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선천성 거대결장은 장에 분포하는 부교감 신경절이 없어서 생기는 기능적 장폐쇄로 인하여 발생하는 병이다. 이 질환은 산전 초음파에서는 특별한 문제가 없어 보이다가 출생 후 장운동이 시작되면서 증세가 나타나게 된다. 신생아 시기에는 변비, 복부팽만,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진단이 늦어지면 장폐쇄, 패혈증, 복막염 등의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만성 변비, 영양실조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조기 진단 및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천성 거대결장 환아의 사례를 ...2024.08.30
-
선천성 거대결장 간호과정2024.08.311. 서론 1.1. 선천성 거대결장의 정의와 특징 선천성 거대결장은 장의 운동을 담당하는 장관 신경절세포와 관련된 질환이다. 대장 원위부에 부교감 신경절 세포가 결손되어 장 팽만을 일으키므로 거대결장이라고 명명한다. 신생아나 소아에서 거대하게 확장된 결장을 동반하면서 배변 장애와 기능성 장폐쇄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대부분의 경우 신생아기부터 증상이 나타나며 확장된 결장 부위가 병소인 점에서 선천성 거대결장증이라 불리어 왔다. 또한 Hirschsprung(1886)에 의해 보고되어 허쉬스프룽병 혹은 히르슈슈프룽병(Hirschspr...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