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생활속의안전2024.10.181. 화재 예방 및 대응 1.1. 화재 발생 시 기본 대피 요령 화재 발생 시 기본 대피 요령은 다음과 같다. 불을 발견하면 '불이야'하고 큰소리로 외쳐 다른 사람에게 알려야 한다. 그 후 화재경보 비상벨을 눌러 화재 상황을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 화재가 발생한 경우 엘리베이터를 절대 이용해서는 안 되며, 안전한 계단을 이용하여 대피해야 한다.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없는 경우에는 옥상으로 대피해야 한다. 대피 시에는 낮은 자세로 안내원의 안내에 따라 침착하게 대피해야 한다. 불길 속을 통과할 때에는 물에 적신 담요나 수건 등...2024.10.18
-
최신재난선박2024.10.191. 선박 사고 1.1. 선박사고의 정의 선박사고의 정의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에서 오래전부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우리나라의 초기 선박은 영세한 규모였으며 나무로 만든 배가 대부분이었고, 항만시설 또한 충분하지 않았다. 그러나 1970년대 경제발전을 거치면서 선박의 대형화와 원양어업의 활성화로 먼 바다에서 발생하는 선박사고가 증가하였고 사고의 규모 또한 대형화되었다. 1960년대 후반 이후로는 과적이나 자연재해 외에 남북 간의 갈등에 의한 사고, 유조선의 기름 유출 사고와 같은 새로운 유형의 해양 사고가 많이 발생했...2024.10.19
-
세월호 참사의 대책2024.10.141. 서론 1.1. 주제 선정 이유 및 사건의 피해사항 세월호 참사는 최근 국내에서 발생한 대형 사고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사건이다. 당시 같은 고등학생으로서 남일 같지 않게 다가왔고, 이후에도 언론에서 지속적으로 관련 내용을 접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 사건을 주제로 선정하였다. 2014년 4월 16일, "빨리 빨리"를 좋아하는 한국인의 시간을 통째로 멈춰버린 사건이 발생하였다. 2014년 4월 15일 인천을 출발해 제주로 가던 여객선 세월호가 다음 날인 4월 16일 전남 진도군 인근 바다에서 침몰하게 되었다. 수학여행을 가던 안...2024.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