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백만인 구령운동2024.10.021. 서론 19세기말과 20세기 초 세계 곳곳에서는 무디부흥운동, 웨일즈부흥운동, 인도카시아 부흥운동 등 놀라운 부흥운동이 일어났다. 그중 한국교회사에 있어서 절대 빼놓을 수 없는 역사적인 부흥이 일어났는데 바로 1907년 평양에서 있었던 대부흥이다. 한국교회는 성령의 임재와 축복 속에 한국의 오순절이라 일컬어지는 이 놀라운 평양대부흥 운동을 통해 민족과 사회를 개혁시켰다. 이는 아무런 소망 없던 이 나라에 소망의 빛을 던져준 영적 분수령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교회사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평양 대부흥을 이해하는 것은 한국 기독...2024.10.02
-
미국장로교회2025.05.311. 미국 장로교회의 역사와 발전 1.1. 초기 개척지와 장로정치 16세기 중반부터 프랑스의 위그노들은 해외에 도피처를 세우기 위해 남아메리카에 이민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들은 남미에 도착하여 1557년 최초의 개혁교회 전통에 따른 예배를 드렸으나 잠시 후 전민족 학살에 의해 그 운동이 중단되었다. 기독교인들이 북아메리카에 정착한 것은 1607년이다. 버지니아 주의 제임스 타운에 영국인들이 이주하면서 신대륙 이민 역사가 시작되었다. 버지니아에 도착한 이민자들은 대부분 영국 성공회였으나 엄격한 의미에서 청교도적인 신앙을 고백하는 장로...2025.05.31
-
18세기 미국 침레 교회의 종교의 자유를 위한 투쟁2025.06.101. 18세기 미국 침례 교회의 종교의 자유를 위한 투쟁 1.1. 침례교인들 - 자유교회 사람들 침례교운동이 시작된 초창기부터 기독교 신앙에 관한 침례교인들의 이해에는 두 개의 황금줄이 서로 엮여 있다: 그것은 '선교를 향한 열정'과 '종교의 자유를 위한 열망'이다. 토마스 헬위즈가 10여 명의 추종자들을 이끌고 암스테르담에서 다시 영국 땅으로 돌아갔을 때, 그들이 영국인들과 함께 나누고자 했던 신앙의 주된 내용은 네덜란드에서 새롭게 발견한 종교의 자유 개념이었다. 종교의 자유에 관한 기본적인 원리를 제시했던 사람이 바로 헬위즈였...2025.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