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화엄사: 천년 고찰의 미(화엄사 and 천년 고찰의 미2024.09.121. 화엄사 개요 1.1. 화엄사의 위치와 특징 화엄사는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에 위치한 천년고찰로, 544년(백제 성왕 22년)에 인도에서 온 연기 조사에 의해 창건되었다. 절의 이름은 화엄경(華嚴經)의 '화엄' 두 글자를 따서 붙인 것이다. 화엄사는 지리산 줄기의 산지에 자리잡고 있어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남향의 계단식 배치로 인해 장대한 규모와 절묘한 조화를 보여준다. 또한 국보 4점, 보물 5점을 비롯한 다수의 문화재와 20여 동의 부속건물들이 배치되어 있어 그 역사성과 가치를 더하고 있다. 이처럼 화엄사는...2024.09.12
-
중원역사문화론 호암지 유적2024.10.061. 충주의 역사적 가치 1.1. 충주의 지리적 위치와 자연환경 충주는 충청북도 동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남한강의 중류 지역에 자리잡고 있다. 과거 선사시대부터 남한강의 물줄기가 백두대간에서 발원하여 북한강과 합쳐 서해로 흘러가는 중심에 있었다. 남한강의 본류와 달천, 요도천, 봉황천 등의 유역에 형성된 충적 지대는 선사시대로부터 사람이 살기에 좋은 자연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이후 철기가 본격적으로 사용되면서 이 지역의 풍부한 철(鐵)자원과 하천유역의 충적 대지가 주는 농업생산력을 바탕으로 주변 지역보다 유리한 발전이 이루어졌다....2024.10.06
-
한국건축사 요약: 고려시대 건축 및 궁궐2024.10.231. 통일신라 시대의 건축 1.1. 궁궐건축 1.1.1. 안압지와 포석정 안압지는 경주 읍성 터 동남쪽과 월성 동북쪽에 위치하며, 문무왕 때 만들어진 인공연못이다. 안압지는 당 장안성의 금원을 모방하여 만들었으며, 궁궐 내에 만들어져 왕과 신하가 연회를 하고 외국 사신을 영접하는 장소로 사용되었다. 안압지에서는 통일신라 시대의 건축기술을 잘 보여주는 첨차, 소로, 난간, 동자주 및 와전 등이 출토되었는데, 이를 통해 당시 궁궐 건축의 위용을 엿볼 수 있다. 안압지 내에는 포석정이라는 유명한 건축물이 있는데, 화강석으로 만든 ...2024.10.23
-
익산 미륵사지2024.10.141. 익산 미륵사지 1.1. 미륵사지의 역사와 구조 1.1.1. 미륵사지 창건과 구조 미륵사지 창건과 구조는 다음과 같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백제 무왕과 왕비가 사자사에 가는 길에 용화산 아래 큰 연못에 이르렀을 때 미륵삼존이 나타났다. 왕비가 왕에게 이곳에 큰 절을 세울 것을 청하자, 왕은 승려인 지명법사에게 연못을 메울 방법을 묻고 신력으로 하루만에 산을 옮겨 연못을 메워 대전과 탑, 회랑 등을 각각 세 곳에 세웠다. 이 절을 '미륵사'라 이름 지었다. 발굴조사 결과 미륵사지는 중문-탑-금당이 일직선상에 배열된 1탑 ...2024.10.14
-
안압지 건축2024.11.031. 한국 건축사의 흐름 1.1. 삼국시대의 건축 1.1.1. 신라의 건축 신라는 소부족국가의 연합체로 시작되었고, 중국과는 고구려와 백제에 의해 격리되어 있어 건국 초기에는 원시적인 건축만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신라의 국권이 안정되고 고구려나 백제와 교섭이 잦아지자 이들로부터 새로운 건축을 배웠을 것이며, 늦어도 5세기 초에는 그러한 건축을 만들기 시작했을 것으로 믿어진다. 이것은 경주지방에 많이 남아 있는 큰 무덤 속에서 출토되는 유물들이나, 천마총, 황남대총에서 확인된 목곽과 목관 등의 치목법이나 제작기법...2024.11.03
-
한국문화자원의이해2024.12.061. 한국 전통 건축의 이해 1.1. 한옥의 특징 1.1.1. 한옥의 배치 한옥의 배치는 한옥의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는 부분이다. 한옥은 성격이 다른 여러 영역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영역들을 생활의 규범에 맞게 배치하는 것이 한옥 배치의 관건이다. 또한 한옥의 배치는 기본적으로 거주공간을 뚜렷이 규정하되 그것을 주변의 공간과 단절시키는 것이 아니라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것을 큰 특징으로 한다. 한옥의 배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기능적인 측면에서 한옥의 영역들은 각자의 기능에 맞게 배치된다. 안채는 ...2024.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