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불프스부르그 문화센터의 배치계획, 평면계획, 단면계획, 규모, 구조 형식 및 구조재, 외장 재료 들에 대해서 적어줘2024.09.141. 조적조의 이해 1.1. 조적조의 정의와 특징 조적조는 벽돌과 돌과 같이 작은 부재를 쌓아 완성하는 건축물이다. 조적은 가장 단순한 건축기법이며, 조적공은 각 재료들을 층층이 쌓아 벽을 만들어낸다. 뿐만 아니라 조적은 가장 풍부하고 다양한 기법으로서 색상, 질감, 패턴 등에 있어 선택의 폭이 무한하다. 그것에 쓰이는 재료들이 작기 때문에 평면적인 벽에서부터 벽과 지붕의 구분이 모호해지는 굴곡표면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형태라도 만들어 낼 수 있다. 조적은 소규모 사업자를 위한 재료이며, 유럽이나 우리나라와 같이 지진이 적어 연직하...2024.09.14
-
도함수의 활용 구조물 강도2024.10.071. 건축재료의 발달과 전망 1.1. 건축재료의 역사적 발전 우리나라에서 고대로부터 사용된 건축재료는 목재, 석재, 기와 및 벽돌, 진흙, 석회 등이다. 목재는 건축재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나 우리나라 기후 특성상 좋은 재질을 가진 큰 목재를 얻기에 불리하였기 때문에 목재의 합리적 활용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이는 한국의 건축문화를 형성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에 비해 석재는 풍부하여 화강암, 편마암, 석회암 등 다양한 종류의 석재가 산출되어 조적식 건축수법이 발달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는 고대부터 중국의 기와 및 벽돌 ...2024.10.07
-
건축학 정리2024.10.021. 건축재료 개요 1.1. 건축재료의 분류 건축재료는 크게 재질분야별, 사용목적별, 화학조성별, 건물부위별, 공사구분별, 제조공정별로 분류할 수 있다. 재질분야별로는 천연재료인 석재, 목제, 토벽 등과 인공재료인 금속제품, 요업제품, 석유제품 등으로 나뉜다. 사용목적별로는 구조재료인 목재, 석재, 콘크리트, 철강 등과 마감재료인 타일, 유리, 도료 등, 차단재료인 아스팔트, 실링제, 단열재 등, 방화 및 내화재료인 방화문, 내화재 등으로 구분된다. 화학조성별로는 무기재료인 비금속 재료와 금속 재료, 유기재료인 천연재료와 합성수...2024.10.02
-
흡음재 차음재 방음재2024.11.151. 건축재료 1.1. 유기재료 1.1.1. 목재 목재는 세계 건축사에서 가장 먼저 사용된 건축 재료로서, 지금 사용하고 있는 주 건축재료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재료이다. 특히 인테리어 부분에서도 폭넓게 사용되는 주요재료로, 중량이 가볍고 촉감이 부드러우며 친근감을 주지만, 건조·수축에 의한 변형과 습기에 의한 수축·균열이 생기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이를 물리적, 화학적인 처리방법에 의해 보완하면 실내건축의 주재료로 사용하는데 손색이 없을 것이다. 목재는 다른 재료들에 비해 무게가 가볍고 가공이 용이하며, 무게 대비 ...2024.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