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조선대학교 한국사2025.04.051. 서론 1.1. 상반된 평가를 가지고 있는 왕 광해군은 조선의 제15대 왕이자 인조반정으로 권좌에서 쫓겨난 국왕이다. 그는 연산군과 더불어 반정으로 왕위에서 쫓겨난 이후 '조(調)'나 '종(宗)' 등의 칭호가 주어지지 않은 왕이기도 하다. 광해군에 대한 평가는 극과 극을 달린다. 우선 그가 이른바 인조반정을 통해 폐위되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난정을 일삼다가 폐위된 폭군'이자 '혼주(昏主)'로 보는 전통적 인식이 있다. 다른 한편에서는 광해군을 '명청교체(明淸交替)라는 격변 속에서 이른바 '택민주의'에 입각하여 현명한 ...2025.04.05
-
허균의 유재론2024.09.141. 허균의 생애와 사상 1.1. 허균의 출생과 성장 허균은 1569년(선조 3년)에 강릉 사천 애일당에서 초당 허엽과 부인 강릉 김씨 사이의 막내로 태어났다. 허균이 아홉 살 때 가족이 모두 상곡으로 이사를 갔다. 허균은 명례방(현재 서울 명동)에서 성장하며 임수정, 임현, 최천건 등과 교류하였다. 유몽인은 어우야담에서 허균에 대해 "총명하고도 영특했으며, 태어난 지 아홉 해 만에 시를 지을 줄 알았는데 매우 아름답다. 여러 어른이 그를 칭찬하면서 문장을 잘하는 선비가 될 것이라 말했다."고 기록하였다. 그러나 매형 우성전은 "...2024.09.14
-
홍길동전에서 길동의 행동이 도덕적인가2025.04.091. 서론 사회가 발전할수록 개개인의 인품과 도덕성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인간의 기본적 가치관과 윤리관이 무너지면서 인성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대 사회에서 과거 우리 선조들이 강조했던 전통적인 인성교육의 가치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허균의 『홍길동전』은 당대 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도덕성에 대한 고민이 잘 드러나는 작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홍길동전』을 통해 허균의 사상과 그가 작품에 담아낸 도덕성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2. 홍길동전에서 길동의 행동이 도덕적인가 2.1. 허...2025.04.09
-
장길산2025.05.191. 장길산: 영웅의 탄생과 민본주의 1.1. 작품의 시대적 배경 소설 『장길산』은 효종 때인 17세기 중반을 배경으로 한다. 당시 조선 사회는 이인좌의 난과 병자호란 등 연이은 사회 혼란을 겪었고, 숙종 시기에는 기근과 기근으로 인한 백성들의 고통이 극심했다. 또한 양반 중심의 신분제도가 철저히 유지되어 서얼과 승려들이 관직 진출에서 차별받는 등 사회적 모순이 심각했다. 지방 관리들의 부패와 수탈로 인해 민중들의 삶이 매우 피폐해졌고, 이에 저항하는 움직임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작품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장길산이라는 ...2025.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