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몸으로말해요2024.11.251. 서론 서양 철학의 전통에서 몸은 정신과 구분되어 인간에게 있어 부차적인 것으로 취급받아왔다. 오랜 시간 동안 서양의 지성은 몸을 초월한 것, 정신, 의식, 영혼, 마음 등을 통해 인간을 이해하고자 했고 이러한 과정에서 몸은 배제되었다. 이러한 접근법에 따라 고대 그리스의 플라톤에서부터 중세 기독교까지 몸을 욕망의 근원이자 참된 인식을 방해하는 것으로 여겼고, 근대에 이르러서는 인간에게서 몸을 완전히 분리해내고 자신의 정체성을 오직 이성과 사고에만 정초하였다. 데카르트와 의사들에 의해 몸은 신비와 상징을 벗고 해부학과 생리학의 ...2024.11.25
-
동양 사상가들의 행복론2025.04.011. 서론 1.1. 동양 사상가들의 행복론 동양 사상가들은 인간의 행복을 위해 자연과의 조화, 내면적 성찰, 도덕적 수양 등을 강조하였다. 유교는 인간의 도덕적 수양과 사회적 조화를 추구하였고, 도교는 자연과의 합일과 무위자연의 삶을 강조하였다. 불교는 고통에서 벗어나 자비를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유교는 인간이 도덕적으로 수양하고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함으로써 조화로운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다고 보았다. 공자는 '인(仁)'과 '예(禮)'를 통해 인간의 도덕성을 함양하고 사회적 질서를 유지할 수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