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속요의 전반적 성격2024.09.141. 고려속요의 전반적인 성격 1.1. 고려속요의 정의와 특징 고려속요는 일반적으로 고려시대의 시가 가운데서 경기체가, 향가, 시조, 가사 등의 유의 속하는 작품들을 제외한 나머지 우리말 시가 작품들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쓰이고 있다. 고려속요의 정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려속요는 구전성을 지닌다는 것이다. 상당수의 속요 작품들은 구전되어 오다가 문자로 정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구전성은 원래 기록수단을 가지지 못했던 민중들에 의해 만들어진 민요나 설화 등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성격이기 때문에 속요가 구전성을 지녔다는...2024.09.14
-
고려 속요 장르상 특징2024.10.101. 고려속요의 전반적 성격 1.1. 서론 '고려속요'는 일반적으로 고려시대의 시가 가운데서 경기체가, 향가, 시조, 가사 등의 유의 속하는 작품들을 제외한 나머지 우리말 시가 작품들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쓰이고 있다. 학자에 따라서 고속가, 장가, 속악가사, 고대가요 등으로 부르기도 하며 명칭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고 있다. 여기서 '속요'란 민속가요를 줄인 말로, 속요라고 지칭되는 대부분의 가요는 궁중악의 한 갈래인 속악 악장으로 사용되었으며, 민요를 궁중의 속악가사로 전용하는 과정에서 생성, 발전되어 갔다. 1.2. 고려속요의 ...2024.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