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0개
-
급성통증2024.09.121. 간호진단: 급성통증 1.1. NANDA 정의 급성통증은 "실제적 혹은 잠재적 조직손상으로 인해 경험하는 감각적 또는 정서적 불편감이 갑자기 또는 서서히, 경증에서 중증강도로 지속하거나 예측 가능한 3개월 미만의 기간 동안 지속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1.2. 간호 사정 1.2.1. 주관적 자료 대상자의 주관적 자료를 살펴보면 "너무 아파요", "계속해서 쿡쿡 쑤시는 것 같아요", "진통제 좀 빨리 놔주세요", "진짜 아파서 움직이지도 못하겠어요", "머리가 지끈거리고 쑤시는 거 같아요", "여기 배가 너무 아파요", "아...2024.09.12
-
혈당 상승의 원인2024.09.221. 당뇨병 개요 1.1. 당뇨병의 정의 당뇨병은 소변으로 포도당이 배출된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병이다. 정상인의 경우 소변으로 당이 넘쳐나지 않을 정도로 혈당이 조절된다. 여기에는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중요한 작용을 한다. 이러한 인슐린이 모자라거나 제대로 일을 못 하는 상태가 되면 혈당이 상승하며, 이로 인해 혈당이 지속적으로 높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를 당뇨병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당뇨병 유병률은 경제가 발전하고 생활 양식이 서구화됨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이다. 1.2. 당뇨병의 유형 당뇨병에는 크...2024.09.22
-
방광종양절제술2024.10.151. 경요도 방광종양절제술 (TURBT, transurethral resection of bladder tumor) 1.1. 정의 경요도 방광종양절제술(Transurethral Resection of Bladder Tumor, TURBT)은 비근육침윤성(표재성) 방광암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표준술기이다. 이 수술은 방광경을 통해 방광 내 종양을 절제하고 전기소작을 통해 제거하는 술식이다. 점막이나 점막 하층에만 국한되어 있는 비근침윤성 방광암은 경요도 방광암 절제술 단독만으로도 치료가 가능하여 약 70%의 5년 생존율을 보이고 있...2024.10.15
-
폐경기 간호과정2024.10.151. 폐경기 증상과 관리 1.1. 폐경의 정의와 이행과정 여성이 나이가 들면서 난소가 노화되어 기능이 떨어지면 배란 및 여성호르몬의 생산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데, 이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이 바로 "폐경"이다. 대개 1년간 월경이 없을 때 폐경으로 진단한다. 이러한 변화는 대개 40대 중후반에서 시작되어 점진적으로 진행된다. 폐경의 이행과정은 난소 기능의 쇠퇴로 인한 뇌하수체-난소-자궁내막주기의 변화와 더불어 월경이 사라지기까지의 과정이다. 폐경 전기에는 난소의 크기와 무게, 난포 수가 감소하고 에스트로겐과 인히빈 분비가 ...2024.10.15
-
폐경 후 여성의 비타민 D 섭취와 우울증2024.09.281. 폐경기 여성의 건강관리 1.1. 폐경의 정의와 이행과정 갱년기(climacteric)는 폐경을 전후한 40~60세 사이를 의미하며, 폐경(menopause)은 난소의 기능이 상실되어 에스트로겐 분비가 없어지고 임신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폐경기(menopausal period)는 '노년기로 가는 과도기'로 생리적 폐경이 보통 50세 전후에 발생한다. 폐경의 이행과정은 난소 기능의 쇠퇴로 인한 월경주기의 변화와 더불어 월경이 사라지기까지의 과정이다. 40세 전후부터 난소 기능이 쇠퇴하기 시작하여 폐경으로 진행하는데, 이...2024.09.28
-
NSTEMI와 STEMI의 구분2024.09.291.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및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ute Coronary Syndrome) 1.1. 관상동맥질환(CAD)의 정의와 종류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CAD)은 관상동맥의 부분적 혹은 완전한 폐쇄로 인해 심장에 공급되는 혈액 및 산소공급이 감소하여 발생하는 장애이다. 관상동맥질환에는 협심증(Angina)과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이 있다. 협심증은 관상동맥의 부분적이고 일시적인 차단으로 인한 가역적인 심근세포의 손상으로, 심...2024.09.29
-
보험심사간호사20242024.11.181. 간호학개론 - 전문간호사 1.1. 서론 1.1.1. 전문직의 정의와 특성 전문직이란 오랜 기간의 체계적인 이론과 특수한 기술을 바탕으로 하며, 자율성과 윤리 강령이 부여되는 직업이다. 전문직은 특정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데, 첫째 오랜 기간의 학습과 수련에 의한 체계적인 이론과 특수한 기술을 기초로 한다는 것이다. 둘째, 지식에 근거한 권위를 사회로부터 인정받는다는 것이다. 셋째, 전문직에 종사할 사람의 임용, 수련 및 평가와 통제 등에 자율성이 부여된다는 것이다. 넷째, 윤리 강령 및 전문직으로서의 행위의 규범을 자체 단체...2024.11.18
-
칸디다성 질염 문헌고찰2024.11.07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질염은 다양한 여성생식기 건강문제 중 높은 발병율을 가지고 있다. 그 중 칸디다성 질염은 '칸디다'라 불리는 곰팡이균에 의한 감염으로 여성의 75%가 경험할 정도로 흔한 질환이다. 대개 칸디다균은 건강한 상태에서 질 내 정상적인 세균들과 함께 균형을 이루며 존재하는데, 생리 등 호르몬의 변화, 면역력의 감소, 항생제 복용, 꽉 끼는 옷의 착용, 소변의 당분을 증가시키는 식품 섭취, 생활환경 변화 등의 원인에 의해 이 균형이 깨졌을 때 몸 속에서 증식하게 되고, 질염 증상을 야기한다. 대표 증상으로...2024.11.07
-
간호 내러티브2025.01.061. 심근경색증 1.1. 심근경색증의 진단 1.1.1. 심전도 검사 심전도 검사는 심근경색증을 진단하는 핵심적인 검사이다. 심전도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한 것으로, 심근경색증 발생 시 특징적인 변화를 보인다. 급성 심근경색증이 발생하면 심전도 상에서 ST 분절의 상승이 확인되는데, 이는 경색 부위의 심근이 비가역적으로 손상되었음을 나타낸다. 특히 전벽 심근경색의 경우 V1-V4 유도에서 뚜렷한 ST 분절 상승이 관찰된다. 반면 후벽 심근경색은 II, III, aVF 유도에서 ST 분절 상승이 나타난다. 이러한 ST 분절 상...2025.01.06
-
알츠하이머의 치료방법2024.12.251. 치매의 정의와 진단 방법 1.1. 치매의 정의 치매는 라틴어 "demente"에서 유래된 말로서 '정상적인 정신상태가 아니다', '정신이 나갔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치매는 의심이 많아지거나 아는 것에 병이 든 상태를 의미하며, 정상적으로 발달한 뇌가 후천적인 원인에 의해 손상되어 고등 정신기능의 장애가 나타나는 복합적인 임상증후군이다. 치매의 원인은 다양하며 70가지 이상의 질환이 그 원인이 될 수 있지만, 그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치매의 예방과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024.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