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자연과윤리2024.10.111. 윤리학의 새로운 지평 1.1. 생명에 대한 새로운 윤리 기준 생명에 대한 새로운 윤리 기준은 기존의 인간 중심주의를 넘어서 생명 전체를 포괄하는 윤리적 관점을 제시한다. 이는 동물과 자연에 대한 도덕적 지위와 책임을 강조하는 것으로, 전통적 윤리 사상들과 대비되는 새로운 윤리 이론들을 통해 드러난다. 전통 윤리 사상에서는 인간 이성의 우위와 동물 및 자연에 대한 도구적 가치관이 지배적이었다. 데카르트는 동물을 단순한 기계로 간주했고, 칸트는 동물이 도덕적 지위를 지니지 못한다고 보았다. 반면 테일러와 레오폴드는 생명체들이 ...2024.10.11
-
자기중심주의와인간중심주의를극복하고다른사람및다른생명과더불어살아가기의중요성2024.11.261. 환경철학과 인간중심주의의 극복 1.1. 환경세계관의 다양성과 인간중심적 환경세계관 환경세계관은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자연세계의 환경적 역할에 대한 신뢰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환경세계관의 핵심 사항은 첫째, 지구관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 둘째, 누가 책임질 것인가?(책임성), 셋째, 환경이 인류에게 주는 교훈적 메시지는 무엇인가?(환경적 교훈) 등으로 압축할 수 있다. 첫 번째 환경세계관은 인간은 가장 중요한 종으로서 인류의 이익을 얻기 위해 지구의 운영관리를 어떻게 할 것이며, 그 밖에 종들과 일부 자연이 우리에게 ...2024.11.26
-
풍수지리 새로운 패러다임 분석2024.12.211. 풍수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1.1. 서론 한국 사람들은 풍수지리를 빌어 집터나 묏자리를 정해 왔다. 풍수지리를 따지는 근저에는 풍수지리가 길운은 받게 하고 액운은 막는다는 기복신앙이 깔려 있다. 좋게 말하면 풍수지리는 조상들의 경험이 쌓여 만들어진 과학이라고 할 수 있지만 엄밀히 말해 풍수지리는 과학은 아니다. 칼 포퍼는 과학적 지식은 절대 불변의 진리가 아니며 그것의 핵심은 반증가능성(falsifiability)에 있다고 하였다. 과학적 명제는 반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려 있어야 한다. 우리는 반증을 통해 어떤 과학적 가...2024.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