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저출산 통계분석2024.09.111. 한국의 저출산 현황과 원인 분석 1.1. 저출산 현황 1.1.1. 합계출산율 추이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지난 수십 년 동안 급격히 감소해 오고 있다. 1970년대 초반에는 4.53명으로 높은 출산율을 보였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1983년에는 2.06명으로 절반가량 감소했고, 2002년에는 1.18명으로 1.0명대 초반으로 진입했다. 2018년에는 처음으로 1.0명 미만인 0.98명을 기록하며 초저출산 국가로 분류되었고, 2022년에는 0.78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러한 저출산율은 단순한 일시적 현상이 아...2024.09.11
-
이민정책 출입국정책. 문제개선방안2024.10.211. 서론: 저출산 현상의 대안으로 부상하는 이주민 정책 우리나라는 1980년대 중반부터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며, 2001년 합계출산율이 1.3명 이하인 초저출산 국가로 진입한 이래 2022년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하였다. 이에 따라 유소년인구는 감소하는 반면 고령인구는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생산연령인구 내부에서도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다. 특히 베이비붐 세대가 노인인구로 편입되면서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이상인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을 앞두고 있다. 즉 일할 사람이 없다는 것이다. 이미 지방은 ...2024.10.21
-
로또 확률과 통계2024.10.181. 저출산·고령화와 우리나라의 미래 1.1. 저출산의 심각성과 문제점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는 심각한 수준이다. 2020년 우리나라의 합계 출산율은 0.90을 기록하였는데, 이는 세계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의 출산율일 뿐만 아니라, 가장 빠른 속도로 출산율이 감소한 것이다. 불과 30년 전인 1972년에는 우리나라의 출생아 수가 95만 5천 명에 이르렀고 이때의 합계출산율은 4.14명이었지만, 40년이 지난 2020년에 태어난 신생아는 그 절반 수준인 28만대로 예상되고 있다. 이처럼 저출산은 우리사회가 직면한 심각한 문제이다. ...2024.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