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개
-
마르크스 베버 뒤르켐 짐멜2024.12.181. 고전 사회 이론에서의 문화개념 1.1. 칼 마르크스 마르크스는 사회를 "긴장과 갈등을 통해 사회변동을 야기하는 대립된 세력들 간의 동적 균형"이라고 생각했다"" 마르크스는 기본적으로 사회 진화론을 토대로 사회를 바라보았는데, 사회가 발전해 나가는 것은 평화롭게 진화하는 것이 아니라 갈등을 통해 진화한다고 생각했다"" 마르크스에게 있어서 인간의 '실천'은 중요했는데, 사회 구성원들이 갈등과 모순에 익숙해져 아무런 문제의식을 가지지 않고 가만히 있으면 사회는 전혀 달라지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마르크스는 갈등을 통해 ...2024.12.18
-
한국사 관련 도서의 줄거리가 잘 정리되어있으먼 좋겄어2024.09.211. 지적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1.1. 책 소개 이 책은 '지적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역사, 경제, 정치, 사회, 윤리편)'이며, 저자는 채사장이다. 이 책은 저자가 2015년 국내 저자 1위를 기록하고 2016년에는 밀리언셀러 작가가 되었다. 현재는 글쓰기와 강연 등을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인문학을 쉽게 알리는 일을 하고 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한 권으로 편안하게 즐기는 지식 여행"이라는 타이틀답게, 지적인 대화를 하기 위해 우리가 알아야 할 인류의 공통분모인 역사, 경제, 정치, 사회, 윤리 분야에 대한...2024.09.21
-
생명의료윤리 역사 원시시대2024.09.141. 역사와 경제 1.1. 시간관의 관점에서 본 역사 시간관의 관점에서 본 역사는 크게 직선적 시간관과 원형적 시간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직선적 시간관은 서양 그리스도교가 역사관의 바탕으로 삼고 있는 개념으로, 과거로의 후퇴는 없이 계속 진행되는 시간의 개념이다"" 이러한 직선적 시간관은 과거의 동일한 것을 반복하지 않고 점차 발전해 나가는 진보적 역사관으로 이어진다"" 반면 동양 불교의 윤회사상의 토대가 되는 것은 원형적 시간관이다"" 원형적 역사관은 진보와 발전이 반복되며, 역사는 큰 틀에서 반복된다는 순환적 역사관...2024.09.14
-
공산당 선언 서평2025.06.161. 서론 1.1. 공산주의에 대한 편견과 호기심 공산주의는 빨갛고 폭력적인 것으로 인식된다. 혁명과 투쟁이라는 단어가 여러 역사적 사실과 결합하여 공격적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이는 단순히 나의 인식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는 바이다. 특히 전쟁을 거치고 공산주의 사상에 대한 적대감이 커진 한국 사회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우리 사회는 마치 빨갱이와 빨갱이의 싸움판으로 그려지는데, 집권당으로부터 공산당이라는 비난을 받아보지 않은 반대당은 없으며, 반대당 역시 오히려 반동적 적들에게, 뿐만 아니라 보다 진보적인 다른 반대당에게...2025.06.16
-
공산당 선언 서평2025.06.161. 서론 1.1. 마르크스의 사상과 공산주의에 대한 이해 마르크스는 현대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 사상가이자 혁명가로 평가받는다. 그가 가장 활발하게 활동했던 시기는 자본주의 경제가 발전하면서 노동자들의 고통이 증대되던 때이다. 마르크스는 노동자들의 고통에 주목하여 이를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였다. 마르크스에게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는 동의어이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가 지속되면 중간 계급이 소멸하고 생산수단을 소유한 부르주아 계급과 생산수단을 소유하지 못한 프롤레타리아 계급으로 이분화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더...2025.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