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임상병리사 기생충2024.11.201. 임상병리검사학 1.1. 정의 및 특징 임상병리검사학은 기초과학, 기초의학을 사용하여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대변, 체액 및 조직 등의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단과 경과관찰, 치료 및 예후판정 등에 필요한 검사를 시행하는 의학의 한 분야이다. 임상병리검사학은 임상화학, 진단혈액학, 임상미생물학, 임상면역학, 수혈의학, 임상생리검사, 조직병리학 등 다양한 세부 전공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분야는 질병의 진단과 치료, 건강 증진을 위한 검사 및 분석을 수행하는데, 각 분야의 전문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질병의 원인...2024.11.20
-
임상병리사 국가고시2024.12.021. 임상병리학과와 임상병리사 1.1. 임상병리학과 소개 임상병리학과는 대한민국의 보건의료인 중 의료기사인 임상병리사를 양성하는 학과로, 단과대학으로는 보건과학대학(College of Science in Public health)에 속해져 있다. 임상병리학을 진단검사의학이라고도 하는데, 진단검사의학(Laboratory medicine)이란 인체로부터 채취되는 각종 검체로 특정 물질을 검사함으로써 질병의 선별 및 조기 발견, 진단 및 경과 관찰, 치료 및 예후판정에 기여하고 질병의 기전 및 병의 원인을 연구하는 학문이며, 검사를 처...2024.12.02
-
기본간호학실습지침서2025.02.141. 서론 1.1. 대상자와 검진자의 검진 전 준비사항 대상자는 편안한 의상을 입고 미리 배뇨한다. 검진부위에 알맞은 체위를 취하며 안정감을 가진다. 검진자는 손톱을 짧게 하고 손을 따뜻하게 유지한다. 대상자에게 편안감을 제공하며 사정하는 동안 불편감은 거리낌없이 이야기하도록 격려한다. 대상자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기 위하여 커튼이나 칸막이로 가려주며, 사용될 기구들은 따뜻하게 해두고 모든 물품을 준비하여 사용하기 쉽게 놓아서 검진이 지연되지 않도록 한다. 사전준비로 검진자, 검사기구, 환경, 대상자 정보를 확인하고, 체계적인 ...2025.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