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생균수시험 평판도말2024.11.101. 생균수 측정 1.1. 실험 원리 및 배경 미생물에 의한 식품의 오염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미지의 Sample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수를 측정해야 한다. 식품은 사람의 건강뿐만 아니라 생명과도 연결될 수 있으므로 오염정도를 정확히 측정할 필요가 있다. 각 측정방법마다 장점과 단점이 있으므로 시료와 미생물의 종류 및 실험 목적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균수의 측정에는 총균수(total cell number)와 생균수(viable cell number)로 구분할 수 있는데, 총균수 측정법에는 현미경 측정법(...2024.11.10
-
박테리아 생장곡선과 지수함수2024.09.051. 미생물의 생장곡선 1.1. 미생물의 생장 미생물의 생장은 미생물 구성성분의 양적 증가와 구조 및 크기의 증가를 뜻한다. 이는 세포의 무게와 크기의 증가가 있으면 그 세포는 세포분열을 하게 되고, 결국은 개체수의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미생물의 생장에 초점을 맞추는 실험에서는 미생물 개체의 질량과 크기의 증가보다는 집단생장, 즉 미생물 총수의 증가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미생물은 일반적으로 이분법을 통해 생장한다. 한 개의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두 개의 세포가 형성되므로, 최적환경에서 모든 단일 세포성 미생물은...2024.09.05
-
박테리아 지수함수2024.09.051. 생장곡선과 미생물의 생장 1.1. 미생물 생장의 정의 미생물 생장이란 미생물 구성 성분의 양적 증가와 구조 및 크기의 증가를 뜻한다. 이는 세포의 무게와 크기의 증가가 있으면 그 세포는 세포분열을 하게 될 것이고, 결국은 개체수의 증가와 이어지게 된다. 미생물은 일반적으로 이분법을 하여 한 개의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두 개의 세포를 형성한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 개체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미생물 생장이라는 용어는 단일 세포의 크기와 무게 증가뿐만 아니라 집단 내 총 세포 수의 증가를 모두 포함한다고 할 수...2024.09.05
-
박테리아 생장곡선과 지수함수와의 관계2024.09.051. 박테리아 성장곡선 1.1. 개요 및 목적 세균을 대량 배양할 때나 또는 조사해야 할 시료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배양액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세균의 생장을 측정해 볼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는 배양액에서 세균의 생장곡선을 흡광도 측정 방법으로 구해보고 또 정확한 균체 수의 측정을 위하여 콜로니 계수법을 병행해 보도록 한다. 이를 통해 세균의 생장 특성과 측정 방법을 이해할 수 있다." 1.2. 박테리아의 특성 박테리아는 단세포 생물로 대부분 크기가 0.5~5㎛ 정도이며, 다양한 형태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특징으로는...2024.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