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개
-
배지 만들기 (사면,고층 평판배지) & 미생물 접종하기 보고서2024.09.261. 실험 개요 1.1. 배지의 개념과 종류 배지는 미생물의 발육을 위한 영양물질로 탄소원과 필요 영양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배지는 물리적 성상에 따라 액체배지와 고체배지로 나누어진다. 액체 배지는 한천(agar)이 들어 있지 않은 액상의 배지이며, 미생물의 종류, 생화학적 검사목적 및 대사산물의 이용 시에 사용된다. 고체 배지는 액체 배지에 한천(agar)나, gelatin, egg, serum 등을 첨가 하여 응고시킨 것으로 집락의 형태를 관찰하거나, 장기 보관 시에 이용된다. 고체배지는 평판배지, 사면배지, 고층배지가 있다....2024.09.26
-
E.coli의 배양 조건, 분열시간, 성장곡선2024.09.261. 미생물 생장곡선 1.1. 미생물의 분열과정(Binary cell division) 대부분의 세균(Bacteria)은 이분법을 통해 증식하는데, 이분법에 의한 세포분열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복제가 일어나기 전 세균 염색체는 응축된 상태로 존재한다. 대장균(Escherichia coli)의 경우 염색체를 완전히 펼치면 세포 길이의 500배에 달하는데, 이렇게 긴 염색체가 세포 안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많이 감기고 접혀 있어야만 한다. 다음으로 복제원점(replication origin)이라고 불리는 세균 염색체의 특정부...2024.09.26
-
생균수 측정 실험2024.11.031. 생균수 측정 실험 1.1. 실험 목적 본 실험의 목적은 생균수 측정법의 원리를 익히고, 학습한 이론을 바탕으로 연속희석법과 표면도말법을 이용하여 E. coli DH5의 총균수와 생균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생균수는 살아있는 균의 수로서 증식이 가능한 균을 지칭하며, 이는 식품의 부패 정도, 신선도 및 오염도를 측정하는 한 방법이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해 생균수 측정법의 원리와 실험 기술을 익히고, E. coli DH5 균주의 총균수와 생균수를 실제로 측정해 볼 수 있다. 1.2. 이론 및 원리 1.2.1. 연속희석법 연속희...2024.11.03
-
다제내성균 분리률 계산2024.12.231. 혈액종양내과 실습 1.1. 혈액암과 고형암 관리 혈액암과 고형암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관리가 필요하다. 혈액암은 골수와 림프계통에 발생하는 암을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백혈병,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등이 포함된다. 반면 고형암은 장기에 발생하는 실질성 암으로 폐암, 위암, 간암, 대장암 등이 해당된다. 혈액암의 경우 항암치료로 인한 골수 억제가 주요 문제점이다. 항암치료로 인해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등의 혈액세포 생성이 억제되어 감염, 빈혈, 출혈의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기...2024.12.23
-
액체시료(물)을 이용한 연속희석 및 도말평판법2024.10.071. 생균수 측정 실험 1.1. 실험 목적 및 배경 실험 목적 및 배경은 "미생물에 의한 식품의 오염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미지의 Sample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수를 측정해야 한다."이다. 식품은 사람의 건강뿐만 아니라 생명과도 연결될 수 있으므로 오염정도를 정확히 측정할 필요가 있다. 각 측정방법마다 장점과 단점이 있으므로 시료와 미생물의 종류 및 실험 목적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1.2. 측정 방법 1.2.1. 현미경 계수법 현미경 계수법(microscopic count)은 특별히 고안된 계수기(c...2024.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