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개
-
심내막염 case2024.09.181. 심내막염 개요 1.1. 심내막의 구조와 기능 심내막은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내벽으로, 심장의 구조와 기능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심내막의 구조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심장은 4개의 방(chamber)과 연결된 혈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위쪽의 2개 방을 심방(atrium)이라 하고, 아래쪽의 2개 방을 심실(ventricle)이라 한다. 혈액은 4개의 심장판막(heart valve)과 4개의 방을 통해 온몸과 폐로 순환하게 된다. 심실과 심방은 동맥혈과 정맥혈이 섞이지 않도록 좌우로 분리되어 있으며, 판막은 혈액의...2024.09.18
-
심내막염 케이스2024.09.181. 심내막염 개요 1.1.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심장은 무게 약 320g 정도의 근육성 장기로, 4개의 방과 연결된 혈관들로 이루어져 있다. 심장의 상부에 위치한 2개의 방을 심방이라 하고, 하부에 위치한 2개의 방을 심실이라 한다. 혈액은 4개의 심장판막과 4개의 방을 통해 온몸과 폐로 연속적으로 순환하게 된다. 심실과 심방은 동맥피와 정맥피가 섞이지 않도록 좌우가 분리되어 있으며, 판막은 혈액이 역류하지 않도록 한다. 심장의 주요 판막에는 삼첨판, 폐동맥판, 승모판, 대동맥판이 있다. 삼첨판은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2024.09.18
-
병리학중간고사문제2024.09.211. 병리학의 정의와 역사 1.1. 병리학의 정의 병리학은 개체에서 발생하는 질병의 상태(증상, 징후, 구조적 이상, 기능적 이상 등)를 면밀히 관찰하여 질병의 본질을 규명하는 것이 사명인 학문이다. 병리학의 어원은 그리스어 pathos(질병)와 logos(학문 또는 과학)을 합한 라틴어 'pathologia'로, 정상범위를 벗어난 병적 상태의 생체구조 및 기능상 변화를 관찰하여 그 변화의 본질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병리학에서는 세포, 조직, 장기에 연관된 질병의 원인, 발병의 발생론, 형태학적 변화, 기능적 변화,...2024.09.21
-
기본간호학-혈액응고이상과 순환장애 및 간호2024.09.251. 혈액 응고이상과 순환장애 1.1. 지혈(Hemostasis) 1.1.1. 출혈이 멈추는 현상 출혈이 멈추는 현상이란 혈관이 손상되었을 때 혈액 응고 체계가 관여하여 출혈이 자연스럽게 멈추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은 주요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째, 혈관 수축이 일어나 출혈 부위의 혈관을 좁게 만든다. 이를 통해 혈액이 흘러나오는 것을 최소화한다. 둘째, 손상된 혈관 부위에 혈소판이 부착되고 ADP와 TXA2와 같은 물질을 분비하여 주변 혈소판을 모아 일차 지혈 栓을 형성한다. 셋째, 조직인자가 방...2024.09.25
-
뇌경색2024.09.241. 뇌경색 개요 1.1. 뇌경색 정의 뇌경색이란 환자의 뇌 조직이 괴사하여 융해되는 질환을 말한다. 환자의 목 부분에 있는 경동맥, 척추-기저동맥부터 우리 뇌 안에 있는 아주 작은 지름의 동맥까지 어떤 혈관이든 막힐 수 있다. 이로 인해 혈관이 지배하던 부위의 뇌가 괴사하여 지속적인 증상이 남게 된다." 1.2. 뇌경색의 유형 뇌경색의 유형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첫째, 뇌색전증은 심장질환이 있거나 목 부위의 혈관에 혈전이 있다가 떨어져 나와 작은 뇌혈관을 막는 경우이다. 둘째, 뇌혈전증은 뇌와 관련된 혈관의 동맥경화 등으로...2024.09.24
-
승모판막협착증 인공판막치환술2024.10.061. 승모판 협착증 1.1. 원인 및 병태생리 승모판 협착증의 주요 원인은 류마티스열이다. 류마티스열로 인해 승모판막에 염증이 발생하면 판막과 판막하구조물인 건삭 및 유두근에 섬유화와 석회화가 진행된다. 이로 인해 수년에서 수십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판막협착이 발생하게 된다. 판막협착이 진행되면서 승모판의 구조물인 교련부, 판첨, 건삭 등이 복합적으로 뻣뻣해지고 섬유화되어 판막개구부가 좁아지게 된다. 특징적으로 류마티스성 승모판 협착증에서는 판첨 가장자리가 서로 붙어서 두꺼워지고, 건삭이 짧아져 판막이 "생선입" 모양으로 변형된...2024.10.06
-
염증성 심장질환 간호진단2024.10.201. 서론 1.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심내막염은 즉시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매우 위험한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지만, 다행히 심장병이 있는 환자의 경우 그 빈도가 매우 낮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이 있다. 드물게는 심장병이 없는 사람에서도 발생하지만, 감염성 심내막염의 진단과 치료는 지속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사망률이 여전히 20~30%로 매우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 합병증의 조기 발견 및 적절한 치료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감염성 심내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와 간...2024.10.20
-
뇌졸중 시나리오2024.10.211. 뇌졸중의 정의와 원인 1.1. 뇌졸중의 정의 뇌졸중이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짐으로써 그 부분의 뇌가 손상되어 나타나는 신경학적 증상을 말한다. 뇌졸중은 뇌혈관 질환과 같은 말이며, 우리나라에서 흔히 '중풍'이라는 말로도 불린다. 뇌졸중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혈관이 막힘으로써 혈관에 의해 혈액을 공급받던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 것을 뇌경색이라 하며, 둘째는 뇌혈관이 터짐으로써 뇌 안에 피가 고여 그 부분의 뇌가 손상당한 것으로 뇌출혈 또는 출혈성 뇌졸중이라고 한다. 서양에서는 전...2024.10.21
-
승모판협착증2024.10.131. 승모판 협착증 1.1. 정의 승모판 협착증은 심장의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하는 승모판막의 협착을 의미하는 질환이다. 승모판막이 좁아지게 되면 판막이 잘 열리지 않아 심장의 이완기에 혈류가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흐르는 것에 지장이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좌심방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고, 다음 수축기에 전신으로 혈액을 보내주기 위한 좌심실로의 혈액 충만에 장애가 오게 되며, 좌심방 전 단계인 폐정맥앞 또한 상승하게 된다." 1.2. 원인 승모판 협착증의 주요 원인은 류마티스 열이다. 류마티스 열이 심내막을 침범한 류마티스 심...2024.10.13
-
승모판협착증2024.11.191. 서론 1.1. 질환의 정의 및 이해 승모판막은 좌심실과 좌심방 사이에 위치하는 판막으로, 이는 좌심실로 들어간 혈액이 좌심방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승모판막이 좁아지는 질환이 승모판 협착증이다.""승모판 협착증은 심장의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의 승모판막이 좁아지는 질환이다. 판막이 좁아지게 되면 판막이 잘 열리지 않아 심장의 이완기에 혈류가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흐르는 것에 지장이 생기게 된다. 승모판이 좁아지게 되면 이완기에 좌심방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고, 다음 수축기에 전신으로 혈액을 보내주기 위한 ...2024.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