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그레고리 K 비일 성전신학 요약 서평2024.12.101. 서론 1.1. 요한계시록 21장의 마지막 환상 요한계시록 21장의 마지막 환상은 새롭고 완전한 창조세계를 보여준다. 요한은 "새 하늘과 새 땅"(계 21:1)을 보았는데, 이는 현재의 타락하고 죄로 가득한 세상이 종말에 이르러 완전히 새롭게 창조될 것을 의미한다. 이어서 요한은 "거룩한 성, 새 예루살렘"(계 21:2)을 보았는데, 이는 하나님께서 친히 내려와 거하실 완전한 도시-성전을 말한다. 이처럼 요한의 환상 속에서는 새로운 창조 세계와 그 중심에 자리한 도시-성전이 명확히 구분되어 나타난다. 그런데 이는 앞선 부분...2024.12.10
-
창조 타락 구속 최종본 분석2025.02.101. 서론 1.1. 창조 타락 구속의 기독교 세계관 기독교 세계관에서 가장 핵심적인 개념은 창조, 타락, 구속이다. 하나님께서는 선한 창조 세계를 만드셨으나 인간의 죄로 인해 그 창조세계가 타락하게 되었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으로 말미암아 창조세계는 다시 회복되어 새 하늘과 새 땅이 임할 것이다. 창조는 하나님께서 무로부터 세상을 만드신 사건이자, 하나님의 주권적인 활동을 통해 창조 질서가 형성되는 과정이다. 창조주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영원한 능력과 신성을 만물을 통해 드러내셨으며, 인간에게 창조 질서에 순종하며...2025.02.10
-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와 세상나라의 관계2025.03.221.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와 세상나라의 관계 1.1. 묵시문학과 종말론 묵시문학은 미래의 사건들에 대한 계시를 담고 있다. 하지만 그것은 단순히 미래를 예언하는 것이 아니라 현대 상황 속에서 하나님의 행위에 대한 신앙적 고백이다. 다니엘서는 대표적인 구약 묵시문학 작품으로, 앞으로 겪을 역사적 운명을 종말적으로 계시하며 최종적으로 "하나님 나라"를 등장시킴으로써 그에 대한 새로운 소망을 갖게 한다. 다니엘서의 종말론은 "마지막 때의 구원"을 역사적으로 전달하는 계시에 초점이 있다. 즉 인류 역사가 시작부터 끝까지 단...2025.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