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김세윤, 복음이란 무엇인가, 하나님나라, 복음2024.09.191. 하나님 나라: 구약과 신약의 핵심 1.1. 구약의 하나님 나라 사상 구약에서 '하나님 나라' 사상은 하나님이 "왕"으로서 이스라엘을 다스리시고 온 땅을 다스리신다는 사상이다. 유대인들은 하나님이 다스리시는 곳에 의와 평화, 자유와 풍요가 있다고 믿었다. 구약에서는 하나님은 "왕이시다."라는 명사적 표현과 하나님이 "다스리시다."라는 동사적 표현이 자주 나오며, 이따금 '그의 나라'라는 말도 나온다. 특히 다니엘 2장과 7장은 예수의 하나님 나라 선포에 매우 중요한 배경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예수의 하나님 나라 선포는 내용적...2024.09.19
-
초기 기독교 내에 생겨난 배교자와 그에 따른 교회의 엇갈린 반응과 결과에 관해2024.09.271. 공동서신의 신학 1.1. 히브리서의 신학 1.1.1. 그리스도와 그의 사역 히브리서 저자는 예수 그리스도를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설명하고 있다. 첫째,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아들로 소개한다. 그리스도는 선재하신 영원한 아들로, 성육신하신 지상의 아들로, 그리고 승귀하신 아들로 설명된다. 저자는 구약의 언어들을 분석하며 그리스도께서 다른 선지자들, 특히 모세와 비교할 때 얼마나 뛰어난 아들인지 설명한다. 그리스도의 신적이고 뛰어나신 부분뿐만 아니라 그의 고난과 죽음이 인류에게 구원과 승리를 제공하였다는 점도 강조된다. 둘째...2024.09.27
-
대선지서2024.11.081. 구약의 선지자들 1.1. 예레미야 1.1.1. 이름의 뜻과 유래 예레미야는 '여화와 께서 세우심'이라는 뜻을 가진다. 이는 수심에 잠긴 나라를 향한 그의 부모의 기도와 젊은 예레미야를 향한 열망을 잘 나타내 주는 것 같다. 1.1.2. 시대적 배경 예레미야는 유다의 마지막 다섯 왕들인 요시야, 여호아하스, 여호야김, 여호야긴, 시드기야 치하에서 예언하였다. 예레미야는 유다 왕국이 파멸하는 시기 전반에 걸쳐 살았다. 요시야 왕(B.C.640-609)의 통치 때인 B.C. 627년에 소명을 받은 예레미야는 아무런 방해 없이...2024.11.08
-
하나님은옛언약의율법을대신하여어떤은혜를주셨나2024.10.141. 은혜의 언약 1.1. 구약에 나타난 은혜의 언약 1.1.1. 원복음 창세기 3장 15절에 나오는 "내가 너로 여자와 원수가 되게 하고 네 후손도 여자의 후손과 원수가 되게 하리니 여자의 후손은 네 머리를 상하게 할 것이요 너는 그의 발꿈치를 상하게 할 것이니라"는 구절은 성경에서 복음에 대한 최초의 암시인 "원복음"을 담고 있다"". 타락한 인간이 하나님과 더 이상 친밀한 관계를 유지할 수 없게 되었지만, 하나님은 여자의 후손을 통해 인간을 구원하시겠다는 약속을 하셨다. 이 약속은 나중에 아브라함과의 언약, 모세와의 언약...2024.10.14
-
성경의 맥을잡아라 느낌점2024.11.251. 구속사와 은혜언약 1.1. 서론 이 책의 저자 중 한명인 켐벨은 "성경 신학"의 저자 '게할더스 보스' 의 영향을 받았다고 해서 책에 대해 관심이 있었다. 게할더스 보스는 나름대로의 성경 신학을 풀어 가는데 있어서 자기의 관이 있었는데, 정말 언약적, 복음적 관점으로 성경을 이해하기보다는 학문적으로 기술하였다. 또한 성경의 주 내용 밖에 있는 말씀을 가지고 중요하게 풀어가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이 책의 세 명의 저자에 대한 이 책을 서술할 때의 관점을 짤막하게 소개하였다. 먼저 켐벨 목사님은 언약이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지는...2024.11.25
-
구원이란 무엇인가 김세윤2024.08.311. 구원이란 무엇인가 1.1. 우리가 구원받아야 할 이유 우리가 구원받아야 할 이유는 모든 악과 고난에서 해방되어 자유로워지기 위함이다. 성경에 따르면 인간은 거짓, 불의, 증오, 개인적 결핍과 아픔, 이웃 및 사회적 갈등 등 다양한 형태의 악과 고난에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악과 고난은 죽음의 증상이며, 인간이 죽음의 상태에 걸려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육체적인 죽음은 단순히 이러한 죽음의 상태를 재확인할 뿐이다. 따라서 구원은 이 죽음과 모든 악과 고난에서의 해방을 의미한다. 인간의 본질적인 죄는 창조주 하나님에 대한 바른 ...2024.08.31
-
이스라엘 민족과 교회사이의 이분법을 주장하는 신학적 입장2025.02.151. 이스라엘 민족과 교회의 관계에 대한 신학적 견해 1.1. 이분법적 견해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서는 이분법적 견해를 개혁파 전통의 주류 입장으로 제시한다. 이분법적 견해에 따르면 구속사 속에는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두 개의 주요 언약이 있다. 첫째는 창세기 3장 15절의 '프로토에반겔리움'을 통해 시작된 은혜 언약이고, 둘째는 타락 이전에 아담과 맺은 행위 언약이다. 이 견해는 구약 성경과 신약 성경의 근본적 통일성을 인정하지만, 하나의 은혜 언약이 다양하게 시행되었다고 주장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와 '우연'의 범주를 ...2025.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