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KFL 교육과 KSL 교육의 특징2024.10.14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 1.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KFL)의 개념 및 특징 1.1.1. KFL 교육에서의 문화교육의 특징 KFL 교육에서의 문화교육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급 교재의 경우 중급이나 고급에 비해 문화의 특성이나 내용을 소개하는 일반적인 문화교육에 치중되어 있어, 원래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위한 목적에서 벗어나 있다. 따라서 초급에서도 언어 능력 신장을 위한 문화 교육 자료와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채택된 문화 항목을 설명 형식으로 접근하고 있어 초급·중급 학습자...2024.10.14
-
KFL 교육과 KSL 교육의 차이2024.10.14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KFL) 개요 1.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개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은 모국어가 아닌 외국어로 의사소통하는 과정에서 목표어인 한국어의 사회적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사소통의 효율성에 있어 순수 언어적 요소보다 문화적 요소가 정확한 의미 파악에 더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은 언어 교육과 더불어 한국 문화의 이해를 통해 문화 충격을 극복하고 목표 언어 사회에 동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특징 ...2024.10.14
-
KFL 교육과 KSL 교육의 특징 및 차이점2024.08.211. 서론 1.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이란 언어 교육의 유형으로 볼 수 있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은 모국어가 아닌 외국어로 의사소통하는 과정에서 목표어의 사회적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문화적 요소가 정확한 의미 파악에 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에 문화교육을 통하여 문화 충격을 극복하고 동화됨으로써 목표 언어 사회에 정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반면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은 학습자가 한국 사회에서 사회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는 데 필...2024.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