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범죄와형벌2024.09.221. 형법상의 범죄와 처벌 1.1. 보통살인죄 미수범 처벌 1.1.1. 침해범 행위 객체 보통살인죄 미수범의 행위 객체는 타인의 자연인이다. 자살은 단순살인죄가 아니라 보통살인죄 미수범의 행위 객체에 포함되지 않는다. 타인의 생명만이 보통살인죄 미수범의 보호법익이 되며, 자신의 생명은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자살이 죄가 되지 않고 타인에 대한 살인 행위만이 보통살인죄 미수범의 객체가 되기 때문이다. 1.1.2. 사람의 시기와 주관적 구성요건 보통살인죄 미수범 처벌에서 사람의 시기와 주관적 구성요건은 다음과 같다. 사람의 시기...2024.09.22
-
형사법2024.10.241. 형사소송법 레포트 1.1. 사건의 개요 2012년 8월 22일 오후 7시 16분경 30세 무직인 김모씨가 전 직장동료인 조씨와 전 직장상사인 김씨를 칼로 마구 찌른 후 지나가던 행인 두 명에게도 흉기를 휘두른 사건이다. 1.2. 사건의 내용 범인인 김모씨는 지난 2009년 10월 여의도에 위치한 신용평가사에 입사 후 부팀장까지 승진했지만 이후 실적이 점차 떨어지면서 직장동료들과 마찰이 있었고 1년 후 퇴사하게 된다. 이후, 김모씨는 다른 직장에 곧 취업했지만 적응하지 못해 오래 일하지 못했으며 4천만원 상당의 카드빚을 지고 ...2024.10.24
-
상관공연모욕죄2024.11.191. 고소장 작성을 위한 범죄 성립 요건 1.1. 사기죄 사기죄는 가해자가 피해자를 기망하여 재산적 처분행위를 유도하거나 강요하고, 그로 인해 피해자에게 재산상 손실이 발생한 경우에 성립한다. 사기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해자의 기망행위가 있어야 한다. 가해자는 피해자를 오도하거나 착오에 빠뜨리는 기망행위를 통해 피해자의 착오를 유발해야 한다. 단순한 거짓말이나 허위사실 제공만으로도 기망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해자의 기망행위로 인해 피해자가 재산상 처분행위를 하도록 유도되거나 강요되어야 한다. 피해자가 가해자...2024.11.19
-
임웅 형법총론2024.12.161. 법률의 착오 1.1. 법률의 착오의 의의 법률의 착오란 책임비난에 필요한 위법성의 인식이 없는 경우, 즉 사실의 인식은 있으나 위법성을 인식하지 못한 때를 말한다. 다시 말하면 행위자가 무엇을 하는가는 인식하였으나 그것이 허용된다고 오인한 경우가 바로 법률의 착오이며, 이러한 의미에서 법률의 착오는 위법성에 대한 착오 또는 금지의 착오라고 할 수 있다. 형법은 제15조와 제16조에서 착오를 사실의 착오와 법률의 착오로 구별하고 있지만, 사실의 착오는 구성요건적 사실의 착오를 의미하며 법률의 착오가 위법성의 착오를 의미한다는 ...2024.12.16
-
공무집행방해2024.10.171. 공무집행방해죄의 성립요건 1.1. 공무집행의 적법성 공무집행의 적법성은 공무집행방해죄 성립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우리 형법은 공무집행방해죄의 성립요건으로 공무집행의 적법성을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지만, 통설과 판례는 공무집행의 적법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근대법치국가에서 국가권력의 발동을 엄격히 제한하고자 하는 취지에 부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공무집행의 적법성은 크게 세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첫째, 공무원의 행위가 해당 공무원의 추상적 직무권한에 속해야 한다. 공무원의 직무는 보통 사안별 또는...2024.10.17
-
업무상횡령 고소장2024.09.071. 범죄 혐의와 관련된 법적 쟁점 1.1. 사기죄 1.1.1. 기망 행위 사기죄는 '기망행위'와 '재산적 피해' 두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성립한다. 여기서 '기망행위'란 남을 속여 넘기는 행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기망행위에는 다음과 같은 요건이 필요하다. 첫째, 피해자의 착오 유발이다. 가해자는 피해자를 오도하거나 착오에 빠뜨리는 기망행위를 해야 한다. 둘째, 재산적 처분행위 유발이다. 피기망자를 피해자로부터 재산상의 처분행위를 유도하거나 강요하여 재산을 교부받거나 이익을 얻어야 한다. 셋째, 피기망자와 피해자의 동일성...2024.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