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개
-
구강조직학2024.09.281. 조직학 개론 1.1. 광학현미경용 조직표본 제작법 광학현미경용 조직표본 제작법은 조직을 관찰하기 위해 거치는 일련의 과정이다. 먼저 고정 단계에서는 조직을 세균에 의한 파괴와 자가분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10% 포르말린 용액에 즉시 고정한다. 그다음 수세 단계에서는 잘라낸 조직편에 묻어있는 고정액을 물로 깨끗이 씻어내고, 탈수 단계에서는 조직 내의 수분을 차례로 에탄올로 제거한다. 이후 조직을 얇게 절단할 수 있도록 파라핀에 침투시켜 포매하고, 절편기를 이용해 약 1~20㎛ 두께로 얇게 자른다. 마지막으로 핵은 Hematox...2024.09.28
-
치위생과 구강조직발생학2024.09.281. 광학현미경용 조직표본 제작법 1.1. 일반 병리조직표본 일반 병리조직표본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제작된다. 첫째, 조직을 적절한 크기로 채취하고 화학물질로 고정한다. 고정은 조직의 구조를 변형시키지 않고 생체와 유사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주로 10% 포르말린 용액을 사용하며, 일시적으로 70% 이상의 에탄올을 이용하기도 한다. 둘째, 고정된 조직을 물로 깨끗이 씻어내는 수세 과정을 거친다. 셋째, 탈수 과정에서 조직 내부의 수분을 에탄올로 제거한다. 넷째, 조직을 녹아 있는 파라핀에 넣어 침투시키고 굳혀 포매한다....2024.09.28
-
간호학과 해부학2024.10.211. 인체의 구조와 기능 1.1. 해부학적 자세와 용어 해부학적 자세와 용어는 인체의 구조를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해부학적 자세란 팔을 양옆으로 내리고 손바닥과 얼굴이 앞을 향한 채로 똑바로 선 자세를 말한다. 이는 해부학적 용어의 기준이 되는 표준 자세이다. 누워 있더라도 해부학적 자세로 서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흉골은 심장 앞에 있다"고 표현하는 것이 정확하다. "심장 위에 있다"고 표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는 해부학적 자세에서 구조물의 위치를 잘못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2024.10.21
-
병리학 문제2024.10.311. 병리학 개론 1.1. 병인의 분류 1.1.1. 내인 내인이란 신체 내부에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질병의 원인이 처음부터 신체 내부에 있음을 의미합니다. 내인의 대표적인 요인에는 연령, 성별, 인종, 유전상태가 있습니다. 연령은 내인의 중요한 요인으로, 소아와 노인에게서 특정 질병이 호발합니다. 소아에게 흔한 선천성 질환들은 발달과정에서의 유전적 결함이나 임신 중 태아의 손상 등 내인적 요인에 기인합니다. 노인에게서는 퇴행성 질환이나 면역기능 저하, 영양실조 등이 주요 내인이 됩니다. 성별 또한 내인으로 작용하여, 여성...2024.10.31
-
임상병리사 국가고시 임상미생물학 요약2024.10.111. 인체의 조직 구성 및 특성 1.1. 상피조직 상피조직은 인체를 구성하는 4대 조직 중 하나로, 기관의 겉과 속을 싸고 있는 조직이다. 상피조직은 기저막을 중심으로 상피세포와 결합조직을 구분하며, 다른 조직들과는 달리 간질(stroma)이 거의 없이 치밀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피조직은 구조에 따라 단층상피, 중층상피, 위중층상피로 분류된다. 단층상피는 기저막 위에 한 층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층편평상피, 단층원주상피, 단층입방상피로 나뉜다. 중층상피는 기저막 위에 2층 이상의 세포층이 쌓여 있는 형태로, 중층편평상피...2024.10.11
-
해부학용어2024.12.021. 해부학 용어 및 주요 인체 부위 1.1. 위치와 방향의 용어 위치와 방향의 용어는 인체의 구조와 부위를 설명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용어는 몸의 세로축과 가로축을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구분된다. 먼저 몸의 세로축을 중심으로 사용되는 용어로는 "superior(위, 머리쪽)", "inferior(아래, 꼬리쪽)", "anterior(앞, 배쪽)", "posterior(뒤, 등쪽)", "internal(속)", "external(밖)", "medial(안쪽)", "lateral(바깥쪽)", "proximal(몸쪽)", "...2024.12.02
-
병리학 문제2024.11.191. 병리학 개론 1.1. 질병의 원인 1.1.1. 내인 내인은 신체 내부에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질병의 원인이 처음부터 신체 내부에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체질이나 장기의 구조와 같은 개체 내부의 요인을 말한다. 즉, 내적 요인으로 인해 질환에 걸리기 쉬운 체질적 소인을 의미한다. 내인의 대표적인 요인으로는 연령, 성별, 인종, 유전상태 등이 있다. 연령에 따라 발생하는 질병의 차이를 보면, 소아에서는 선천성 질환이 많이 나타나고 노인에서는 퇴행성 질환이 호발한다. 성별에 따라서도 질병에 차이가 있는데, 여성은 자궁암, ...2024.11.19
-
병리학 문제2024.11.251. 병리학 개요 1.1. 병인론 1.1.1. 내인 내인은 신체 내부에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질병의 원인이 처음부터 신체 내부에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체질이나 장기의 구조 등 개체 내부의 인자들을 말하는 것으로, 내적 요인으로 인해 질환에 걸리기 쉬운 원인을 소인이라고 한다. 내인의 대표적인 요인으로는 연령, 성별, 인종, 유전상태 등이 있다. 대표적인 내인성 질환으로는 구루병, 소아마비, 당뇨병, 고혈압, 각종 암 등이 있다. 구루병은 비타민 D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골질환이며, 소아마비는 소아기에 발병하는 바이러스...2024.11.25
-
해부생리2024.11.131. 신체 구성 요소 1.1. 세포 1.1.1. 세포의 구조와 기능 세포의 구조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세포(cell)는 인체의 구조적이고 기능적인 기본단위이다. 세포는 세포막, 핵, 세포소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구성요소가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여 세포 전체의 생명활동을 유지한다. 세포막은 인지질 이중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포와 외부 환경 사이의 선택적 투과성을 가진다. 세포막을 통해 물질의 수송이 이루어지는데, 확산, 삼투, 여과와 같은 수동적 운반과 이온 펌프를 이용한 능동적 운반이 있다. 세포막에는 다양한 지질...2024.11.13
-
심장내과 의학용어2024.09.031. 의학용어 기초 1.1. 의학용어의 구성요소 의학용어의 구성요소는 크게 어근(word root), 접두사(prefix), 접미사(suffix), 연결모음(combining vowel)으로 구성된다. 어근은 의학용어의 핵심이 되는 구성요소로, 대부분의 의학용어는 하나 이상의 어근을 가진다. 이는 단어의 중심이 되는 부분으로, 그 자체로도 하나의 의미를 갖는다. 예를 들어 "cardi(o)"는 심장을 나타내는 어근이다. 접두사는 단어의 의미를 수식하는 데 사용되며, 대부분의 의학용어가 이를 포함하고 있다. 접두사는 단어의 ...2024.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