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드레싱2024.10.011. 상처 드레싱의 이해 1.1. 상처의 유형 상처의 유형은 상처의 오염 가능성 및 정도에 따라 청결 상처(clean wounds), 깨끗한 오염 상처(clean contaminated wounds), 오염 상처(contaminated wounds), 불결 또는 감염 상처(dirty or infected wounds)로 분류된다. 청결 상처는 최소의 염증이 있는 감염되지 않은 상처로, 호흡기계나 위장관계, 생식기계, 비뇨기계의 상처는 속하지 않는다. 깨끗한 오염 상처는 호흡기계, 위장관계, 생식기계, 비뇨기계의 외과적 상처로, ...2024.10.01
-
상처관리 및 배액관리2024.09.281. 수술 전 간호 1.1. 수술 전 준비사항 수술 전 준비사항은 수술을 앞둔 환자의 건강상태와 위험요인을 확인하여 수술의 안전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간호사는 수술 전 환자의 건강력, 동의서 확인, 피부준비, 장 관리, 마취 준비 등을 포함한 사정을 실시해야 한다. 우선 간호사는 환자의 건강력을 확인해야 한다. 알레르기, 약물 및 약물 남용, 한약 및 영양제 복용, 일상생활 수행능력, 불안 수준, 병력, 심장ㆍ폐ㆍ콩팥ㆍ간ㆍ신경계 기능상태, 혈액학적 및 내분비계 상태, 영양상태, 이전 수술과 마취력, 연령, 수술에 대한 지각...2024.09.28
-
섭취량 배설량 기록2024.10.061. 섭취량(Intake)과 배설량(Output) 1.1. 섭취량(Intake) 정의 섭취량(Intake)이란 인간의 인체 내부로 들어오는 모든 것을 의미하며, 구강을 통하거나 정맥주입을 통해 들어오는 모든 음식이나 액체를 말한다. 그 종류로는 식사를 통한 모든 음식과 액체 섭취량, 위관영양, 관세척을 위해 주입되는 수액 량, 정맥주입 수액을 통한 공급액이 대표적이다." 1.2. 배설량(Output) 정의 배설량(Output)이란 인간의 인체 회부로 나가는 모든 것을 의미하며, 대소변 활동을 통해 배출되는 것 외에도 구토, 위 흡...2024.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