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정형외과 의학용어2024.11.131. 의학용어 및 약어 1.1. 구조 및 기능 1.1.1. 척추기둥 및 척추의 구조 척추기둥 및 척추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척추기둥은 경추(C1~C7), 흉추(T1~T12), 요추(L1~L5), 천골(sacrum), 미골(coccyx)로 구성된다. 경추는 목 부분에 해당하며 7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다. 흉추는 가슴 부분으로 12개의 척추골로 구성되어 있다. 요추는 허리 부분으로 5개의 척추골이 있다. 천골은 골반 부분으로 5개의 척추골이 융합되어 있으며, 미골은 천골 아래에 위치한 4~5개의 작은 척추골이 융합된 부분이다....2024.11.13
-
보조기의 종류2024.11.301. 보조기의 종류와 적용 1.1. 경추 보조기 1.1.1. Soft collar Soft collar는 경추부 염좌나 두부 및 경추부의 체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추 보조기이다. 소프트 칼라는 2중 구조로 되어 있어 착용감과 지지력이 우수하다. 경추의 굴곡, 신전 운동을 제한하며 목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경추부 염좌 환자나 두부 및 경추부 부상 환자에게 사용된다. 경추의 움직임을 일정 부분 제한하여 통증을 경감시키고 부상 부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1.1.2. Thomas soft collar Thoma...2024.11.30
-
EBN보고서2025.07.091. 서론 1.1. 뇌졸중 환자의 물리치료 관련 문제 뇌졸중 발생 후 환자는 상지와 하지의 운동기능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운동기능 장애는 관절구축, 경직 등의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환자의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제한된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에게 있어 물리치료는 필수불가결한 중재방법이며, 효과적인 물리치료는 환자의 신체기능 회복과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뇌졸중 환자의 물리치료 접근성과 강도가 부족하여 환자의 회복이 지연되거나 불충분한 수준에 머...2025.07.09
-
정형외과 보조기2025.07.231. 정형외과 보조기의 이해 1.1. 보조기의 정의와 목적 보조기는 인체의 기능을 보조하거나 교정하는 장치를 말하며, 신체기관을 대체하는 경우 의지(의족, 의수)라고 한다. 보조기의 주요 목적은 관절 고정과 변형 방지 및 교정, 체중 부하 방지, 이차적 손상 예방, 그리고 통증 경감 등이다. 따라서 보조기는 인체의 기능적 장애를 보완하고 회복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보조기는 환자의 치료 및 재활 과정에서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활용되고 있다. 1.2. Splint와 Cast의 적응증 splint와 cast의 적응증 s...2025.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