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공무집행방해2024.09.181. 공무집행방해죄의 성립요건 1.1. 공무집행의 적법성 공무집행의 적법성은 공무집행방해죄 성립의 핵심적인 요건이다. 공무집행방해죄는 공무원의 직무집행이 적법한 경우에 한하여 성립하는 것이다. 즉, 공무집행이 법령에 정한 요건과 절차를 준수하여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먼저, 공무원의 직무집행이 해당 공무원의 추상적 직무권한에 속해야 한다. 공무원의 직무는 보통 사안별 또는 장소적으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그 범위를 초과하는 행위는 직무집행행위로 볼 수 없어 적법성이 인정되지 않는다. 다만 내부적인 사무분담에 의한 것은 직무범위...2024.09.18
-
형사법2024.10.241. 형사소송법 레포트 1.1. 사건의 개요 2012년 8월 22일 오후 7시 16분경 30세 무직인 김모씨가 전 직장동료인 조씨와 전 직장상사인 김씨를 칼로 마구 찌른 후 지나가던 행인 두 명에게도 흉기를 휘두른 사건이다. 1.2. 사건의 내용 범인인 김모씨는 지난 2009년 10월 여의도에 위치한 신용평가사에 입사 후 부팀장까지 승진했지만 이후 실적이 점차 떨어지면서 직장동료들과 마찰이 있었고 1년 후 퇴사하게 된다. 이후, 김모씨는 다른 직장에 곧 취업했지만 적응하지 못해 오래 일하지 못했으며 4천만원 상당의 카드빚을 지고 ...2024.10.24
-
사기죄2024.08.271. 서론 1.1. 사기죄의 보호법익 사기죄의 보호법익은 재산권, 즉 전체로서의 재산이라는 데 대하여는 이론이 없으나, 재산권 이외에 거래의 진실성 또는 신의성실도 본조의 보호법익이라고 볼 수 있다"" 판례는 사기죄의 보호법익이 재산권뿐만 아니라 거래의 진실성 및 신의성실도 포함한다는 입장이다. 즉, 사기죄는 개인의 재산권 침해뿐만 아니라 거래 질서를 교란시키는 행위를 처벌함으로써 거래의 안전성을 보장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기죄는 재산권 보호와 거래의 신뢰 보호라는 이중적 보호법익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1.2. 사기...2024.08.27
-
형사소송법2024.08.301. 여의도 칼부림 사건 1.1. 사건의 개요 2012년 8월 22일 오후 7시 16분경 30세 무직인 김모씨가 전 직장동료인 조씨와 전 직장상사인 김씨를 칼로 마구 찌른 후 지나가던 행인 두 명에게도 흉기를 휘둔 사건이다."" 1.2. 사건의 내용 범인인 김모씨는 지난 2009년 10월 여의도에 위치한 신용평가사에 입사 후 부팀장까지 승진했지만 이후 실적이 점차 떨어지면서 직장동료들과 마찰이 있었고 1년 후 퇴사하게 된다"" 이후, 김모씨는 다른 직장에 곧 취업했지만 적응하지 못해 오래 일하지 못했으며 4천만원 상당의 카드빚을 ...2024.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