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간호국시 정리2024.10.031. 건강과 질병 1.1. 내분비계 질환 내분비계 호르몬은 뇌하수체, 갑상선, 부갑상선, 부신 등의 내분비선에서 분비되는 화학물질로, 인체의 성장과 발달, 대사, 면역, 행동 등 다양한 생리적 과정을 조절한다. 뇌하수체에서는 ADH(항이뇨호르몬)와 옥시토신이, 갑상선에서는 T3와 T4가, 부갑상선에서는 부갑상선호르몬(PTH)이, 부신에서는 알도스테론, 코티솔, 안드로겐 등의 호르몬이 분비된다. 이들 호르몬의 과다 또는 부족은 내분비계 질환을 유발한다. 요붕증은 뇌하수체에서 ADH 분비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며, 다뇨, 다갈, 혈중...2024.10.03
-
뇌척수염2024.10.221. 신경계 장애 1.1. 인지기능 장애 의식수준은 대상자의 신경학적 상태를 반영하는 지표로, 대뇌피질과 뇌간의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의식수준은 정상적으로 깨어있는 상태인 "명료(alert)"부터 감소된 상태인 "기면(drowsy)", "혼미(stupor)", "반혼수(semicoma)", "혼수(coma)"까지 단계적으로 나뉜다. 의식수준 평가를 위해 널리 사용되는 도구가 글래스고 혼수척도(Glasgow Coma Scale)이다. 이 척도는 눈을 뜨는 반응(eye opening), 언어반응(verbal response),...2024.10.22
-
삼차신경2024.10.311. 뇌의 구조와 기능 1.1. 뇌줄기 뇌줄기는 뇌의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부분이다. 뇌줄기는 대뇌와 소뇌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며, 기초적인 생명 유지 기능을 담당한다. 뇌줄기는 크게 중뇌, 소뇌다리, 교뇌, 연수로 구성된다. 중뇌(midbrain)는 뇌줄기의 가장 윗부분에 해당하며, 시각과 운동 기능을 조절한다. 중뇌는 상위 운동신경로에서 운동명령을 내리며, 시각반사 중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중뇌가 손상되면 안구운동장애, 사시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소뇌다리(cerebral peduncle)는 대뇌반구와 소뇌를 연결...2024.10.31
-
삼차신경통2024.08.151. 서론 1.1. 삼차신경통의 개요 삼차신경통은 제 5번 뇌신경인 삼차신경의 기능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삼차신경은 안면부의 감각과 운동을 담당하는 가장 큰 뇌신경으로, 삼차신경통은 이 신경의 한 가지 이상의 분지에 간헐적이며 심한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삼차신경통은 "Tic douloureux"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프랑스어로 "고통스러운 경련"이라는 뜻이다." 삼차신경은 뇌간에서 나와 세 개의 주요 신경 가지로 나뉘는데, 안신경 가지(ophthalmic branch), 상악신경 가지(maxillary br...2024.08.15
-
구강내과학2025.02.141. 구강내과학 1.1. 근막동통(Myofascial pain) 근막동통(Myofascial pain)은 발통점에 의해 유발된 중추성 흥분효과로 인해 진정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근막동통이 있는 근육은 통증의 억제효과에 의해 이차적으로 운동의 속도와 범위가 감소한다. 안정시에도 통증을 호소하며 기능시에는 통증이 증가된다. 가장 흔한 예로 승모근(trapezius)의 발통점 존재 시 나타나는 측두부의 긴장성 두통을 들 수 있다. 발통점이 활성화되면 두통이 다시 재발하며, 매우 지치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날에 뒤따르는 늦은 오후의 ...2025.02.14
-
구강내과학2025.02.141. 구강내과학 1.1. 근막동통(Myofascial pain) 1.1.1. 임상소견 근막동통의 임상소견은 다음과 같다. 발통점에 의해 유발된 중추성 흥분효과로 인해 진정한 증상이 나타난다. 근막동통이 있는 근육은 통증의 억제효과에 의해 이차적으로 운동의 속도와 범위가 감소한다. 안정시에도 통증을 호소하며, 기능시에는 통증이 증가한다. 측두하악관절부위에 통증이 있을 때 환자는 개구와 저작 시 통증의 증가를 호소한다. 만약 환자가 하악운동 시 어떠한 통증의 증가나 기능장애의 증가를 호소하지 않는다면, 측두하악관절은 단지 통증부위일...2025.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