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구강해부학2024.09.181. 구강 해부학 1.1. 해부학적 절단면 해부학적 절단면에는 관상면, 시상면, 정중시상면, 횡단면이 있다. 관상면(전두면)은 몸이나 머리를 전·후로 나누는 수직적인 절단면이다. 시상면은 몸이나 머리를 좌·우로 나누는 수직적인 절단면이다. 정중시상면은 몸이나 머리를 좌·우 대칭으로 나누는 유일한 수직적인 절단면이다. 횡단면(수평면)은 머리나 몸을 상·하로 나누는 절단면이다. 이러한 해부학적 절단면은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를 관찰하고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1.2. 방향 및 위치에 관한 용어 내측(안쪽)이란 몸의 정중면과...2024.09.18
-
건강사정 신경계2024.12.171. 뇌신경계 평가 1.1. 개요 건강사정 과정에서 신경계 사정은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신경계 사정은 건강력 조사, 신경학적 신체검진, 임상 진단 검사 등의 단계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신경계 질환의 존재 여부와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신경계 질환은 구조적 결손뿐만 아니라 기능적인 면에서도 변화가 나타날 수 있어, 세부적이고 면밀한 사정이 필요하다. 신경계 검사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순서와 내용이 달라질 수 있으며, 초기 사정 결과는 향후 계속되는 사정, 진단, 평가의 기준이 된다. 신경계 질환은 진행이 ...2024.12.17
-
삼차신경통2024.08.151. 서론 1.1. 삼차신경통의 개요 삼차신경통은 제 5번 뇌신경인 삼차신경의 기능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삼차신경은 안면부의 감각과 운동을 담당하는 가장 큰 뇌신경으로, 삼차신경통은 이 신경의 한 가지 이상의 분지에 간헐적이며 심한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삼차신경통은 "Tic douloureux"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프랑스어로 "고통스러운 경련"이라는 뜻이다." 삼차신경은 뇌간에서 나와 세 개의 주요 신경 가지로 나뉘는데, 안신경 가지(ophthalmic branch), 상악신경 가지(maxillary br...2024.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