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민란2024.10.161. 조선시대 민란의 이해 1.1. 민란과 변란의 개념 및 특성 조선시대 민란(民亂)은 경제투쟁의 성격이 강한 '농민항쟁'을 말하며, 변란(變亂)은 정감록 등 민중사상을 이용하며 정치적 성격이 강한 일종의 정치투쟁을 말한다. 민란은 "發通→聚會→呈訴→蜂起→해산"의 틀(순서)로 나타나는데, 발통은 민란의 주모자들이 시간과 장소를 정해 농민들에게 모이라는 연락을 하는 것이고, 취회는 농민들이 일정한 장소에 모이는 것이며, 정소는 대표자를 뽑아 고을 수령에게 개선책을 건의하는 것이다. 정소에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 봉기로 드러나는...2024.10.16
-
간호관련 역사사건2025.05.291. 간호관련 역사사건 1.1.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세도정치가 지속되면서 백성들의 삶이 점점 더 어려워졌다. 삼정의 문란으로 인해 농민들이 분노에 빠졌다. 이 중 전정이 가장 큰 부담으로 작용했는데, 각종 부가세가 늘면서 농민들의 고통이 가중되었다. 또한 군정의 문란으로 어린아이와 죽은 사람에게까지 군포가 징수되었으며, 환정에서는 모래가 섞인 쌀이 농민들에게 제공되면서 불만이 고조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1862년 경상도 진주에서 농민봉기가 시작되었고, 전라도와 충청도로 퍼져나갔다. 진주농민항쟁에서는 몰락한 양...2025.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