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산후 간호진단2024.09.211. 산욕기 산모의 신체적 간호 1.1. 산후 합병증 위험요인 산욕기 산모의 합병증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술과정(겸자분만, 제왕절개, 흡입분만)이 있었던 경우 감염의 위험이 증가한다. 둘째, 당뇨병의 기왕력이나 임신성 당뇨가 있는 경우 감염 위험이 높다. 셋째, 진통이 24시간 이상 지연되거나 유치도뇨관을 사용한 경우 감염 위험이 높다. 넷째, 산모가 빈혈(헤모글로빈 10.5mg/dL 이하)인 경우 감염 위험이 증가한다. 다섯째, 진통 동안 잦은 내진을 한 경우 감염 위험이 높다. 여섯째, 양막이 24시간 이상 파열된...2024.09.21
-
여성 산모교육2024.10.231. 모유수유의 중요성 1.1. 모유수유의 현황 전국표본조사에 의하면 모유수유율(수유기간 구분 없이 모유만 먹인 경우)이 1982년도 조사에 68.9%, 1985년도 조사에 59.0%, 1988년도 조사에 48.1%, 1994년도 조사에는 11.4%, 1997년에는 14.1%, 2000년도 조사에서는 10.2%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가장 최근인 2003년도 조사에서는 생후 12개월까지 모유만 먹인 비율이 16.5%로 모유수유율이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는 1980년대부터 정부 및 민간단체가 모유수유권장을 위한 홍보교육과 ...2024.10.23
-
NST 문헌고찰2024.11.071. 분만 과정 1.1. 분만 1기(개대기) 분만 1기(개대기)는 규칙적인 자궁수축부터 경관의 완전 개대(10cm)까지의 단계이다. 이 단계의 평균 소요 시간은 초산모의 경우 12-14시간, 경산모의 경우 7-8시간 정도이다. 이 기간 동안에는 경부 거상, 경부 개대, 그리고 선진부의 하강이 나타난다. 자궁구가 반쯤 열리면서부터 진통의 강도가 고조되기 시작하며, 진통 발작 시간도 점점 길어지고 간격도 좁아진다. 이 단계는 임산부에게 매우 괴롭고 힘든 시기이다. 진통 발작이 심할 때에는 복식 심호흡이나 마사지, 압박법 등의 보조...2024.11.07
-
분만과정과 관련된 지식부족2024.10.191. 분만과정과 관련된 지식부족 1.1. 간호 사정 1.1.1. 주관적 자료 대상자는 "내진 너무 싫어요, 너무 아픈데 안하면 안될까요?"라고 말하며 내진 시술에 대한 두려움과 통증을 호소하였다. 대상자는 또한 "무통주사 맞고 싶은데, 아기한테 악영향이 많다고 하던데 맞아도 괜찮나요?"라며 경막외 마취에 대한 잘못된 지식을 보였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분만과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 1.1.2. 객관적 자료 입원 당시 대상자의 객관적 자료는 다음과 같다. 통증으로 인해 앓는 소리를 내며 움직이지 못하고 있었다....2024.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