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최근 식품가공기술 및 개발동향2024.09.121. 서론 수렵시대가 지나고 농경시대가 시작되면서부터 밀·쌀 등의 식물성 식품재료가 인류의 주식량을 이루고 있으며, 동물성 식품재료에 비해 생산 소비량이 훨씬 많아지고 있다. 비록 영양 면에 있어서는 동물성에 뒤지지만 생산성에 있어 월등하기 때문에 중요한 식량이 되고 있는 것이다. 곡류는 농산물 중에서도 가장 많이 생산되고 전분질이 주성분을 이루는 인류의 주식량으로써 유럽·미국·중국 등은 밀을, 아시아·중동 등은 쌀을, 라틴아메리카는 옥수수를 많이 이용하지만 그밖에도 보리, 호밀, 수수, 조, 메밀 등이 일부 이용되고 있다. 쌀(...2024.09.12
-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플라스틱 만들기2024.10.211. 바이오 플라스틱의 개요 1.1. 플라스틱 폐기물 증가로 인한 사회문제 플라스틱 폐기물 증가로 인한 사회문제는 심각한 수준이다. 2017년 12월 대한민국 뉴스에서는 중국발 폐기물 수입거부 문제로 인한 아파트 폐기물 수거 대란이 있었다. 이러한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문제와 함께 환경 및 기후변화 등의 이슈가 국가적 차원의 해결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중국은 2016년 기준 전 세계 폐플라스틱 수입량의 56%를 차지하며, 이를 고형 연료로 사용하여 제조업을 뒷받침하였다. 그러나 중국의 급속한 산업화로 인한 환경문제 발생으로 폐...2024.10.21
-
바이오플라스틱2024.10.211. 바이오 플라스틱의 개발 현황 및 전망 1.1. 플라스틱 폐기물 증가로 인한 사회문제 1.1.1. 플라스틱 사용 및 재활용의 문제점 바이오 플라스틱 사용 및 재활용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국내 플라스틱 폐기물의 재활용률은 매우 낮은 실정이다. 가장 큰 문제는 너무나 많은 종류의 플라스틱 사용으로 인해 국민들이 쉽게 분리수거를 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또한, 제조 및 생산 단계에서 분리가 어려운 라벨, 다른 재질과 화려한 색상으로 제조된 페트병이 많아서 분리수거를 하더라도 재활용이 실질적으로 어려운 경우도 있다. 한국포장재...2024.10.21
-
생분해플라스틱2024.08.281. 생분해성 플라스틱 1.1. 정의 및 국제 표준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란 일반적으로 미생물과 같은 살아있는 유기체의 작용에 의해 물, 이산화탄소 등으로 분해될 수 있는 플라스틱을 말한다[1]. 하지만 이를 제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엄밀한 정의, 즉 표준화된 규격이 필요하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국제 표준 중 하나인 "ISO 14855-1"은 "퇴비화 조건에서 플라스틱 재료의 호기성 생분해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방출된 이산화탄소의 분석에 의한 방법[3]"이다. 이를 기준으로 각국에서 관련 기준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는데, 미국 A...2024.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