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보건통계2024.10.071. 보건통계학의 개요 1.1. 도수분포표 1.1.1. 도수분포표의 정의 도수분포표는 측정한 변수를 항목별로 횟수를 세거나 비슷한 값으로 묶어 계급을 만든 후 속하는 자료의 개수를 알 수 있도록 분류, 집계한 표이다. 명목, 서열, 등간, 비율 수준의 자료에서 사용할 수 있다."도수분포표는 자료의 분포 특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효과적인 통계적 방법이다. 변수의 값을 적절한 간격으로 구분한 계급으로 나누고 각 계급에 속하는 자료의 개수를 나타냄으로써 자료의 양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이를 통해 변수의 특성, 집중경...2024.10.07
-
산포도2024.10.301. 산포도의 측정 1.1. 사분편차 사분편차는 관측치들을 크기 순서로 나열하였을 때, 작은 쪽에서부터 1사분위(즉 25%)에 위치하는 관측치와 3사분위(75%)에 위치하는 관측치 사이의 차이를 의미한다. 즉, 사분편차는 Q3-Q1으로 계산된다. 관측치들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어야 하므로 서수측정수준의 자료에 적용할 수 있는 통계량이다. 사분편차의 계산에는 1사분위와 3사분위에 위치하는 관측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특이치의 분산보다는 영향을 별로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1.2. 범위 범위(range)는 변수값의 분포를 나타내는...2024.10.30
-
심전도와수학2024.08.311. 심박변이도 측정과 분석 1.1. 심박변이도 측정의 필요성 심박변이도 측정은 심장의 건강상태를 평가하고, 심장활동을 조절하는 자율신경계의 상태를 평가하는데 필요하다. 심박변이 분석은 심장의 박동과 박동 사이의 간격을 이용하여 순간 심박시계열(time series)에서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자율신경 검사들은 환자의 협조가 필요하지만, 자발적인 심박동에 대한 심박변이 분석은 생리적이며, 비침습적이고, 환자의 협조가 없어도 가능한 평가방법이기 때문에 심박변이도 분석은 임상에서 중요하다. 또한 심박변이도 분석은 치매, 파킨슨병, ...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