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여성건강간호학 정상임신 간호 요약2024.09.271. 임신 준비 1.1. 임신 준비의 필요성 여성이 자신의 건강상태를 검진하고 건강한 아이를 갖기 위한 준비를 하는 것이 임신 준비의 필요성이다. 이는 임신 전, 산모의 위험요인을 발견하고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회를 제공하며, 산전 예방 간호로써 조산 및 출생 시 결함 등의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계획되지 않은 임신의 경우 잠재적 위험 및 방지는 임신 전에 해야 효과적이며, 위험노출 가능성이 증가한다"" 만성질환을 가진 경우에도 임신 전 관리가 중요한데, 당뇨의 경우 혈당수치를, 간질의 경우 구조적 기형아 가능성을 ...2024.09.27
-
여성건강간호학 정상 임신 간호 태아 건강사정2024.10.101. 정상 임신 간호 1.1. 임신생리 1.1.1. 임신력과 출산력 Gravida는 임신한 여성(임부)을 의미하며, Gravidity는 임신력을 나타냅니다. Primigravida는 처음으로 임신한 여성(초임부)이고, Multigravida는 두 번 이상 임신한 여성(다임부)을 말합니다. 반면 Nulligravida는 임신을 전혀 경험하지 않은 여성(미임부)을 의미합니다. Para는 생존능력이 있는 아이를 출산한 경력이 있는 여성으로, 20주 이상 태아를 출산한 여성을 말합니다. Nullipara는 20주 이상 태아를 한 번...2024.10.10
-
모성간호학 문제2024.12.051. 임부의 건강사정 1.1. 임신 진단 및 기간 임신 진단 및 기간은 임부의 건강사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임신 진단은 마지막 월경일(LMP)과 첫 초음파검사로 추정되며, 분만예정일(estimated date of birth, EDB)은 이를 기반으로 계산한다. 네겔법칙은 분만예정일을 산출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마지막 월경일을 기준으로 "+1년, -3개월, +7일"을 더하여 계산한다. 임신기간은 마지막 월경 시기로부터 약 40주 혹은 280일, 수태 후 266일로 추정된다. 임신은 삼분기(trimester)로 구분되는데...2024.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