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병동 응급 보고상황2024.10.231. 서론 1.1. 산소요법의 정의 산소요법은 산소결핍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공기 중에 함유된 산소농도(21%)보다 높은 농도의 산소를 흡입시키는 요법이다. 숨을 들이마실 때 산소농도가 낮을 경우, 폐포로부터 혈액으로 산소운반이 잘 되지 않을 경우나 조직으로 가는 혈류가 나쁠 경우에 적용한다. 즉, 산소요법은 저산소증 상태에 있거나 저산소증 상태로 이행하는 조직세포의 산소 분압을 증가시켜 세포의 비가역성 손상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이 기본적인 목표이다. 1.2. 산소요법의 목적 산소요법의 목적은 저산소증 상태에 있거나 저산소증 상태...2024.10.23
-
산소요법의 필요상황과 주의점2025.01.061. 산소요법 및 양압호흡기·인공기도 1.1. 산소요법이란? 1.1.1. 정의 산소요법이란 다양한 방법을 통해 대상자의 체내에 산소를 제공하여, 숨을 쉬는 노력을 줄여주고 심근의 부담을 감소시켜 저산소혈증(hypoxia)을 예방 및 개선하는 치료 요법이다." 1.1.2. 목적 산소요법의 목적은 부작용 없이 가장 낮은 FiO2로 최적의 산소화를 하는 것이다. FiO2는 흡입공기 중의 산소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대상자가 흡입하는 공기에 존재하는 산소의 비율을 %로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기에 존재하는 산소는 약 20%정도이...2025.01.06
-
산소요법2024.08.171. 서론 1.1. 산소요법의 개요 산소요법은 세포가 정상적인 대사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다. 정상인의 경우 안정 시 분당 약 250ml의 산소를 소모하며, 약 1.5L의 산소를 폐에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산소 공급이 중단되면 약 6분 만에 폐에 보유된 산소가 모두 소모되어 세포가 저산소증에 빠지게 된다. 산소요법의 목적은 저산소혈증을 치료하고 예방하며, 호흡 노력을 감소시키고 심장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다. 정상인의 동맥혈 산소분압(PaO2)은 77~100mmHg 수준을 유지하며, 만성폐쇄성폐질환(...2024.08.17
-
아동의 산소요법 적용2024.09.021. 산소요법의 개요 1.1. 산소요법의 정의와 목적 산소요법은 저산소증을 개선하기 위해 환자의 체내로 산소를 공급하는 치료 방법이다. 저산소혈증 환자에게 산소를 투여하여 폐포 내 산소분압을 높이고, 숨 쉬는 노력을 줄이며 심근의 부담을 감소시켜 저산소증의 증상을 개선하는 것이 산소요법의 목적이다." 1.2. 산소요법의 적응증 산소요법의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산소요법은 단기적으로 급성 저산소혈증(SaO2 <90%) 을 개선하기 위해 시행된다. 이러한 저산소혈증은 폐렴, 기관지염, 급성호흡곤란증후군, 기흉, 외상, 마취 후 등...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