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진주보건대2024.12.011. 분만의 5요소 1.1. 태아 태아는 분만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태아의 머리, 태위, 태세, 선진부, 태향 등은 분만과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태아 머리는 분만 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두개골이 완전히 고정되어 있지 않아 봉합이 겹치는 주형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전천문과 후천문은 생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닫히게 되며, 태아의 머리는 45도 정도 굴곡이나 신전이 가능하고 180도 정도 회전할 수 있어 산도를 쉽게 통과할 수 있다. 태위란 태아의 장축이 모체의 장축과 맺는 관계를 말하며, 종위와 횡위가 ...2024.12.01
-
분만실 문헌고찰2024.08.31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자연분만(NSVD)을 연구하게 된 필요성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분만실 실습을 하면서 normal delivery의 분만 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에 자연분만에 대해 연구하기로 하였다. 자연분만은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분만법으로 산모의 몸에 특별한 이상이 없고 태아도 건강하면 자연적으로 진통이 올 때까지 기다렸다가 진통이 시작되면 정상적인 분만으로 진행하여, 질을 통해 아기를 낳는 분만법이다. 자연분만은 제왕절개술에 비하여 출혈이 적으며,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기 때문에...2024.08.31
-
분만의5요소중 태아가 중요한 근거를 말해줘2025.03.281. 분만의 5요소 1.1. 만출 물질(Passenger) 태아와 그 부속물인 태반, 양수 등이 만출 물질에 해당한다. 태아의 머리는 가장 중요한 만출 물질이며, 아두가 산도를 무사히 통과할 수 있다면 신체의 나머지 부분은 큰 문제가 없다. 태아의 크기, 선진부, 태위, 태세, 태향 등 여러 가지 요소가 서로 어떻게 관련되느냐에 따라 태아가 산도를 통과하는 것이 달라진다. 태반과 양수 등도 태아가 만출함에 따라 산도를 통과하여 드물게는 정상분만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태아와 그 부속물인 태반, 양수 등이 만출 물질로서 분만에 ...2025.03.28
-
분만2기 간호과정2025.03.191. 분만 1기 간호 1.1. 증상 1.1.1. 경관 소실 경관 소실은 분만 1기 동안 자궁경관이 짧아지면서 얇아져서 종잇장처럼 들어올려지는 과정이다. 초임부의 경우 경관 소실이 먼저 이루어지고 이후 경관 개대가 일어나지만, 경산부의 경우 경관 소실과 개대가 동시에 일어난다. 경관 소실 정도는 0%부터 100%까지 표시되며, 이는 분만이 얼마나 진행되었는지를 알려준다. 경관 소실이 진행되면서 자궁경관이 얇아지고 확장되어 아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따라서 경관 소실의 정도를 확인하는 것은 분만 진행 상황을 파악하는 ...2025.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