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성악설 토론2024.09.261. 성악설과 성선설에 대한 논의 1.1. 성악설의 정의와 근거 성악설의 정의와 근거는 다음과 같다. 성악설은 인간의 타고난 본성을 악으로 보고, 도덕적 수양은 교육을 통한 후천적 습득에 의해서만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학설이다. 이는 중국의 철학자 순자(荀子)의 견해이다. 순자는 사람이 태어날 때부터 선하지 않고 악할 수밖에 없는 본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다. 순자에 따르면, 동물들이 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본능적인 능력들, 예를 들어 먹을 것을 찾는 능력, 몸을 보호하는 능력 등은 선한 것이다. 하지만 인간은 이러한 본...2024.09.26
-
성악설2024.11.241. 순자의 예와 성악설 1.1. 예란 무엇이고 왜 강조했을까? 우선 예란 고대 성왕(聖王)이 인위적으로 제정한 외면적 규범과 재화를 공정하게 배분하기 위한 사회적 규범이며 본질은 예를 제작하는 객관적 원칙인 의에 있다"" 예(禮)는 처음에는 제사와 관련된 숭배의식을 표현하기 위한 글자였다"" 그러나 차츰 예(禮)는 인간사회의 생활규범까지 포괄하게 되었는데, 순자가 중국사상사에서 예를 인간사회의 최고 가치규범으로 정의했다"" 그렇다면 순자가 왜 예를 강조했을까? 우리는 순자가 왜 예를 강조했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성악설의 개념...2024.11.24
-
순종2024.08.191. 서론 1.1. 권위에 대한 순종과 복종의 중요성 권위에 대한 순종과 복종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순종은 인간의 삶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태도이며, 권위에 대한 순종은 사회 질서 유지와 인간관계 형성에 필수불가결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우선, 권위에 대한 순종은 하나님의 섭리와 통치에 순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님께서는 모든 권위의 근원이시며, 우리가 권위에 순종할 때 실제로는 하나님께 순종하는 것이다. 이는 창조주 하나님에 대한 경외심과 신뢰를 표현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순종은 믿음의 증거이며,...2024.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