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2가지 녹여내기 - 활동이 내게 주는 이점 - 내가 활동에 주는 이점2024.09.131. 자원봉사활동 참여 동기 1.1. 이타주의적 행동이론 1.1.1. 이타주의와 협력 협력은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기여하는 친사회적 행동을 의미하며, 구성원 모두가 행위자의 입장에 서서 어떤 형태이든 공동의 투입을 전제로 하게 된다. 이타주의는 도움을 주는 주체가 자신의 개인적 이득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특징을 보인다. 즉, 협력은 공동의 이익을 위해 구성원 모두가 함께 노력하는 행동이며, 이타주의는 개인의 이익 없이 타인을 돕는 행동을 말한다. 이처럼 이타주의와 협력은 친사회적 행동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2024.09.13
-
진화론의 문제점은 무엇인가2024.09.261.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 1.1. 작가 소개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 1941년 3월 26일 -)는 영국의 진화생물학자, 작가, 그리고 과학 커뮤니케이터이다. 그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동물학을 공부하고, 1967년부터 2008년까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공공의 이해를 위한 과학 교수로 일했다. 도킨스는 1976년 출간한 '이기적 유전자'로 국제적 명성을 얻었다. 이 책에서 그는 자연선택의 단위가 개체가 아닌 유전자라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했고, 이는 진화생물학과 사회생물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24.09.26
-
우생론과 진화론을 보고 느낀점2024.09.251. 다윈과 마르크스 - 다윈의 진화설의 마르크스의 평가와 새로운 사회생물학의 정립 1.1. 서 론 1883년 런던 하이에이트(Highate) 공동묘지에서 행한 마르크스(Karl Marx)의 장례식에서 엥겔스(F. Engels)는 다음과 같이 연설하였다. "다윈(C. Darwin)이 유기체의 발전법칙을 발견했듯이, 마르크스는 인간사회의 발전법칙을 발견하였다."(Colp, 1974: 337) 이 연설은 이후 다윈과 마르크스 사이의 이론적 유사성에 대한 연구와 관심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실제로 다윈과 마르크스 사이에 얼마나 이...2024.09.25
-
사회생물학적 인간학에 대한 비판2024.09.191. 사회생물학과 마르크스주의의 새로운 만남 1.1. 서론 지금까지 대체로 사회생물학과 마르크스주의 사상은 서로 양립하기 어려운 관계로 간주되어 왔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특히 두 가지 핵심적인 이유를 주목할 수 있다. 하나는 사회생물학이 정치적 보수우파를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로 간주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사회생물학이 생물학적 결정론을 주장함으로써 현실의 사회적 모순들을 인간의 생물학적 본성에 따른 불가피한 현실로 긍정하고 노동자계급의 주체적인 활동에 의한 사회주의 혁명 및 사회주의 사회 건설의 가능성을 부정...2024.09.19
-
이기적 유전자라 불리는 이유2024.10.091. 이기적 유전자 1.1. 책의 개요 이기적 유전자는 영국태생의 동물행동학자이자 진화생물학자 및 대중과학 저술가인 리처드 도킨스가 저술한 책이다. 이 책은 1976년 출판 당시부터 사회적으로 큰 논쟁을 불러일으킨 세계적인 베스트셀러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에 난해했던 문제들을 유전자의 관점에서 간결하고 적절한 생물학적 비유로 풀어나간다. 특히 이 책은 우리의 몸이 DNA를 후대에까지 이어지게 하는 "생존 기계"에 불과하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동식물이 어떻게 번성하는지를 부모의 사랑,...2024.10.09
-
진화론적심리학을 통해서 본 이타주의 행동 분석하기2024.11.171. 진화심리학과 사회생물학 1.1. 진화심리학의 정의와 핵심개념 진화심리학은 인간의 마음에 대한 계산주의 이론, 즉 현대 계산 이론의 아버지라 불리는 논리학자 튜링이 주창했고 인간의 마음에 대해 컴퓨터나 두뇌의 소프트웨어로 이해하는 이 계산주의 이론과 주류 현대 진화론이 결합된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주류 현대 진화론은 다윈의 자연 선택론을 중점적으로 해 1920년부터 30년에 형성된 근대적 종합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자연 선택의 단위를 유전자로 규정하는 유전자 선택론, 그리고 자연 선택의 힘을 강조하는 적응주의를 근간으로 한다....2024.11.17
-
기업경영 비즈니스 전략 기말 족보, 융합적 분석 인문학 대안 정리2024.12.071. 인간의 본성에 대한 융합적 분석과 AI와의 관계 1.1. 인간의 본성에 대한 고전적 해석 인간의 본성에 대한 고전적 해석은 동양의 맹자와 순자의 견해로 대표된다. 맹자는 인간의 심성(心性)은 본래 선하다고 주장하는 '성선설'을 펼친 반면, 순자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고 보는 '성악설'을 내세웠다. 맹자의 성선설은 인간이 타고난 본성이 선하다고 보는 관점이다. 맹자는 인간에게 사단(四端)이라는 선한 감정이 내재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사단이란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시non지심(是非之心...2024.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