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선진들의 신학연구 방법론2024.09.181. 개혁주의 관점에서 본 해방신학 1.1. 서론 해방신학이 종속당한 지식의 부활이라 함은 해방신학의 담론이 어떤 지배적 신학과 문학에 의해 억압당해 온 지식들의 부활을 표상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해방신학은 종속당한 '주변부'의 피억압자들의 소리, 즉 로메로와 프란츠 파농이 일컬었던 바 '소리없는 자들의 소리', '대지의 저주받은 자들'의 소리, 다시 말하면 해방신학의 선구자인 구티에레스가 일컬었던 '비인간들'의 소리에 관심을 기울일 뿐 아니라, 그들을 억압의 구조로부터 해방시키려는 실천적 신학이다. 그렇기 때문에 해방신학...2024.09.18
-
천민의 일생이야기2024.10.131. 노비에서 양반으로, 왕조사에서 다시 민중으로 - 호적 연구로 하친민의 일상사를 복원하기 1.1. 들어가며 한국에서 역사를 소재로 한 창작이 인기가 높다는 것은 우리 국민들의 역사에 대한 관심과 열의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드라마, 영화, 소설, 연극 등 다양한 장르에서 다양한 시대와 소재로 역사 작품이 지속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국민들이 역사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과거의 사건과 인물들에 대한 호기심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욕구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필자는 이러한 작품들이 주로 왕조사 중심이...2024.10.13
-
정신보건학의 견해2024.12.111. 공중보건학 개요 1.1. 공중보건학의 개념 공중보건학의 개념은 조직화된 지역사회의 노력에 따라 질병 등을 예방하고 지역사회 주민들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정신적, 신체적 효율향상을 위한 기술 및 과학이다. 공중보건학의 대상자나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목적은 조직화된 지역사회의 보편적인 건강 증진을 말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직화된 지역사회라고 한다면 같은 일반 법률이나 규범 등 공통된 관심과 조직을 가지고 어느 정도 한정적인 공동의 이익을 위하여 상호 노력하고 협조하는 사회적인 집단으로 공중보건사업에 있어서 최소 단위로 ...2024.12.11
-
문화로 보면 역사가 달라진다2025.01.051. 새로운 역사학의 등장 1.1. 정치사에서 사회사로 정치사가 역사를 움직이는 원동력을 정치로 보고 영웅 중심적이며 지배자 중심적인 성격을 지닌다면, 사회사는 이러한 정치사에 대한 비판에서 비롯되었다. 정치사가 "위로부터의 역사"라면 사회사는 "밑으로부터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사회사는 마르크스주의 역사가들과 아날학파에 의해 주도되었는데, 이들은 역사에서 소외되었던 계층이 갖는 사회적 성격을 규명하고 평범한 대중들의 일상생활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정치사가 위에서 결정되는 역사라면 사회사는 밑에서 일어나는 역사, 즉 노동...2025.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