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하트 법실증주의2024.09.291. 서론 서론에서는 자연법론과 법실증주의가 법사상사의 주요한 흐름으로 자리매김해 왔음을 개괄한다. 자연법론은 있어야 할 법과 정의를 강조하는 반면, 법실증주의는 있는 법 그 자체에 주목한다. 이 두 입장은 법의 개념과 효력 문제를 놓고 오랜 시간 동안 첨예한 대립을 해왔다. 자연법은 신적 기원이나 인간의 이성에 의해 정립된 보편적이고 불변의 법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에 비해 실정법은 인간에 의해 제정된 가변적인 규범으로 간주되었다. 자연법론은 실정법이 자연법에 근거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법실증주의는 실정법만이 법의 전부라고 보...2024.09.29
-
만들어진 전통의 대한 발제문2024.09.241. 계몽주의와 근대초기의 사상 1.1. 계몽주의의 등장과 발전 1.1.1. 계몽주의의 등장 배경 계몽주의의 등장 배경은 18세기를 전후로 유럽에서 일어난 일련의 사회, 경제, 문화적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우선 14세기 후반부터는 르네상스로 불리는 새로운 문화적 전환이 나타났다. 미술, 음악, 문학, 사회 구조 등 전반에 걸쳐 중세의 전통에서 벗어나는 양상이 두드러졌다. 또한 중세 말부터 계속된 교황권의 추락과 성직자 부패는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들의 비판을 받으며 가톨릭교회와 신교의 대립을 야기하였고 종교개혁과 30년 전쟁...2024.09.24
-
자연법 사상법2024.08.271. 서론 19세기에 실증주의 시대가 도래한 이후 자연법은 실정법으로 변동되며 현대까지 유지되고 있다. 특히 콩트가 제창한 이후 19세기 중반부터 모든 학문 분야에 그 위세를 떨쳤다. 반면에 20세기에는 다양한 경험과 새로운 양상을 통하여 자연법론의 부활이라고 말할 수 있는 또 다른 양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자연법론은 "있어야 하는 법" 또는 실정법 이상으로 자연법까지 법으로 보자는 입장이며, 법실증주의는 "있는 법" 또는 실정법만을 법으로 보자는 입장이다. 자연법은 법이념과 그 질서체계를 이루는 골격으로 개인의 도덕적 행위에 대...20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