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 근대사학사와 민족사학의 발전
1.1. 한말의 역사학 연구 동향
조선 말기에 새로운 역사학이 태동되는 배경의 하나로서 주목해야 할 것은, 뒷날 식민주의 역사학으로 발전하는 일본인 학자들의 한국사 연구이다. 일본의 한국에 대한 연구는 이미 근대 이전인 에도시대(江戶時代, 1603~1867)부터 이른바 국학자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들은 『古事記』, 『日本書紀』 등 일본의 고전을 연구하여 일본을 신국(神國)으로 규정하면서, 과거 일본의 신이나 왕이 한국의 고대국가를 지배했고, 한국의 왕족과 귀족들이 일본에 복속했다는 등 한국...
2024.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