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한국 사진사와 미학 2차 과제2024.11.301. 한국사진의 역사 1.1. 사진의 국내유입 중국과 일본에 전래된 사진은 우리나라에 오면 국내사정으로 수용의 길이 막혔다. 1840년대의 국내는 폐쇄정책을 실시해 외국과의 교섭을 차단하고 천주교를 박해했으며 서양의 문물이나 과학기술의 유입을 금지했다. 이러한 요인으로 주위 국가에 있던 사진은 국내로의 이입이 전혀 불가능한 상태로 놓여졌다. 계속되는 서양의 자본주의 세력들의 통상과 개항의 요구는 프랑스와 미국의 전쟁 형태의 싸움으로 까지 이어졌고 그 후로 쇄국정책은 더욱 강화되었다. 1873년 대원군이 물러나기까지 우리나라는 쇄국...2024.11.30
-
사진사와미학 22024.11.261. 한국 사진의 역사 1.1. 한국 사진의 기원 1.1.1. 최초의 사진 기록 한국에서 최초로 사진이 촬영된 것은 1863년 조선 연행사 일행이 북경에 갔을 때의 일이다. 이들은 당시 러시아 공사관 사진관에서 여섯 장의 사진을 촬영하였는데, 이것이 현존하는 한국 최초의 사진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실은 2008년 새로이 발견된 사진 기록을 통해 확인되었다. 이전에는 1997년 발견된 1866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 함선 갑판에서 촬영된 세 장의 조선인 사진이 한국 최초의 사진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1863년 연행사 일행...2024.11.26
-
사진사와 미학 2차 과제2024.11.261. 한국 사진사 개관 1.1. 한국 사진의 기원 한국 사진의 기원은 1860년대와 187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우리나라에 사진이 처음 도입된 시기는 문헌상으로 1863년이다. 당시 북경의 러시아관에 파견된 연행사절단의 정사 이의익이 초상 사진을 찍으면서, 사진과의 첫 만남이 이루어졌다. 이때 "사진"이라는 용어가 『연행일기』에 처음 등장하였다. 서양에서 사진을 "빛으로 그린다"는 의미의 "photography"라고 명명한 것과 달리, 한국에서는 "실물의 모양을 있는 그대로 그려낸다"는 의미의 "사진(寫眞)"이라는 용어가 탄생...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