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2개
-
사진사와 미학 2차과제2024.12.011. 한국 사진의 시작과 발전 1.1. 사진의 도입과 초기 발전 1.1.1. 1870년대: 사진의 도입 한국인이 최초로 사진에 찍힌 역사적 사건은 『연행일기』에 기록되어 있다. 1863년 북경의 러시아관에서 연행사절단으로 파견된 정사 이의익이 초상사진을 찍으면서 사진과의 첫 만남이 이루어졌다. 이때 연행일기에 '사진'이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하였다. 서양이 사진을 기술 중심적으로 정의한 것과 달리 한국에서는 사진을 '사진(寫眞)'이라 명명하였는데, 이는 실물의 모양을 있는 그대로 그려내어 정신을 표현하고자 하는 조선의 사실주의적 ...2024.12.01
-
사진사와미학 22024.11.261. 한국 사진의 역사 1.1. 한국 사진의 기원 1.1.1. 최초의 사진 기록 한국에서 최초로 사진이 촬영된 것은 1863년 조선 연행사 일행이 북경에 갔을 때의 일이다. 이들은 당시 러시아 공사관 사진관에서 여섯 장의 사진을 촬영하였는데, 이것이 현존하는 한국 최초의 사진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실은 2008년 새로이 발견된 사진 기록을 통해 확인되었다. 이전에는 1997년 발견된 1866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 함선 갑판에서 촬영된 세 장의 조선인 사진이 한국 최초의 사진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1863년 연행사 일행...2024.11.26
-
한국 사진사와 미학 2차 과제2024.11.301. 한국사진의 역사 1.1. 사진의 국내유입 중국과 일본에 전래된 사진은 우리나라에 오면 국내사정으로 수용의 길이 막혔다. 1840년대의 국내는 폐쇄정책을 실시해 외국과의 교섭을 차단하고 천주교를 박해했으며 서양의 문물이나 과학기술의 유입을 금지했다. 이러한 요인으로 주위 국가에 있던 사진은 국내로의 이입이 전혀 불가능한 상태로 놓여졌다. 계속되는 서양의 자본주의 세력들의 통상과 개항의 요구는 프랑스와 미국의 전쟁 형태의 싸움으로 까지 이어졌고 그 후로 쇄국정책은 더욱 강화되었다. 1873년 대원군이 물러나기까지 우리나라는 쇄국...2024.11.30
-
한국 사진사2024.11.301. 한국 사진의 역사 1.1. 사진의 국내 유입 중국과 일본에 전래된 사진은 우리나라에 오면 국내사정으로 인해 수용의 길이 막혔다. 1840년대 당시 한국은 폐쇄정책을 펼쳐 외국과의 교섭을 차단하고 천주교를 박해했으며 서양의 문물이나 과학기술의 유입을 금지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주변국에서 사용되던 사진술이 한국으로 전해질 수 없었다. 계속되는 서양 자본주의 세력의 통상과 개항 요구로 프랑스와 미국과의 전쟁까지 이어졌지만, 대원군 집권 기간 동안 한국의 쇄국정책은 더욱 강화되었다. 그러나 중국과의 문호는 개방되어 있어 매년...2024.11.30
-
오픽2024.11.091. 자기소개 1.1. 이름과 직업 안녕하세요, 저의 이름은 Jenn입니다. 저는 현재 초등학교에서 교사로 일하고 있습니다. 저는 직업을 선택하는 데 있어 항상 아이들과 함께 일하고 싶었습니다. 아이들의 호기심과 순수함에 매력을 느꼈기 때문입니다. 또한 아이들의 지적 발달과 성장을 돕는 것이 저의 주된 목표 중 하나입니다. 교육을 통해 아이들이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돕고 싶습니다. 저는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학생들의 성장 과정을 지켜보는 것은 정말 보람찹니다. 아이들의 밝은 모습과 순수한 호...2024.11.09
-
보도자료2024.10.131. 보도자료 작성 시 주의사항 1.1. 단문으로 작성하기 보도자료 작성 시 단문으로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식어나 나열은 짧게 유지하며, 문장이 길면 단문으로 분리해야 한다. 예를 들어 "강릉, 동해, 삼척을 잇는 58km의 아름다운 동해안 해안선을 달리는 OO열차는 전좌석을 측면방향으로 배치하고 창문도 일반열차보다 크게 만들어 동해의 넘실거리는 파도와 드넓은 백사장을 감상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특별열차이다."와 같은 긴 문장은 "OO열차는 동해안 해안선을 달리는 특별열차이다. 열차를 타면 강릉, 동해, 삼척을 잇는 58km...2024.10.13
-
사진사와미학2024.11.101. 사진과 회화 1.1. 사진의 정의 사진이란 화합물이 빛의 작용으로 변화하는 반응을 응용해서 건판이나 필름 인화지 등에 방사 에너지를 작용시켜 대상물체의 영상을 만드는 기술이다. 카메라 옵스큐라의 원리를 발전시킨 카메라를 사용하는 방법과, 감광물질 위에 직접 물체를 놓고 노광시키는 방법(포토그램)이 있다. 1.2. 회화의 정의 회화는 서구에서는 '색을 칠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되며 동양에서는 색을 칠하지 않은 것들도 포함된다. 모두 평면 위의 선과 색에 의하여 어떤 시각형상을 그려내는 점에서는 거의 공통이다. 즉, 회화는 서양에...2024.11.10
-
쿠르베 모더니즘 회화의 특성2024.10.121. 서론 최근 들어 외설이라는 이유로 문학작품의 판매 금지나 영화, 연극 등의 상영·상연 금지 처분에 대해 정당성 여부가 우리 사회에서 뜨거운 논쟁이 되고 있다. 이에 대해 비판자들은 "예술영역에 공권력이 개입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예술을 법적·윤리적 잣대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 등의 이유를 내세웠다. 먼저 현대 예술에 있어서 이러한 외설성 시비가 잦은 배경을 살펴보면 포스트모더니즘 사조의 보급 등에 힘입어 관능적인 표현물들이 폭발적으로 늘어가고 있다는 데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70~80년대에 걸쳐서 서구사회에서 ...2024.10.12
-
한국 사진사2024.12.021. 한국 사진사 개관 1.1. 한국 사진의 시작 1.1.1. 1860년대와 1870년대의 사진 우리나라에 사진이 처음 들어온 것은 1860년대와 1870년대 무렵이다. 이의익(李宜翼)과 그의 일행, 오경석(吳慶錫), 김기수(金基秀)와 김홍집(金弘集) 등이 중국과 일본에서 초상화 사진을 찍었다. 특히 이의익과 그의 일행이 중국에서 찍은 사진은 한국인을 모델로 한 가장 오래된 사진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1866년 병인양요와 1871년 신미양요 당시 미국 해병대가 촬영한 사진들도 이 시기의 중요한 기록이다. 이처럼 이 시기의 사진...2024.12.02
-
사진의 역할2024.10.121. 경영과 문화의 이해: 디지털 시대 사진의 가치 1.1. 시간과 공간의 경계 우리는 실제로 방문한 경험이 있거나 풍경을 전망하는 중에 특별히 눈길을 사로 잡는 곳이나 감각의 작용을 통해 연상하는 곳, 유명하거나 현재가 이슈가 되는 모든 것은 이미지를 통해 기억되며 현대시대 이 이미지는 대부분 사진을 통해서 전달이 된다. 도란 마세이는 "시간은 혁신, 진보, 문명, 과학, 정치와 이성, 비중 있는 엄숙한 사물들, 그리고 대문자와 손잡는다. 반면에 공간은 이러한 구상들의 다른 한쪽 끝과 손잡는다. 그것은 정체, 재생산, 노스탤지어...2024.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