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4개
-
디카시집 영감과2024.09.111. 김종회의 저서 「디카시, 이렇게 읽고 쓴다」 비평 1.1. 서론 디카시라는 장르는 출발한지 햇수로 30년이 되었지만, 대중들에게 '디카시'라는 용어는 여전히 낮설다. 그렇지만 인스타그램이나 트위터처럼 사진과 짧은 글이 동시에 올라올 수 있는 SNS에 익숙한 사람들이라면 우리는 모두 디카시짓기에 발을 들인 셈이다. 광화문 교보문고에 매 분기별로 짧지만 인상적인 싯구가 걸린다. 그 중에서도 설문조사를 통해 1위로 꼽힌 시가 나태주 시인의 「풀꽃」이라고 한다.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오래 보아야 사랑스럽다/너도 그렇다." 이게 시...2024.09.11
-
사진사와 미학2024.09.181. 사진과 회화의 정의와 차이점 1.1. 사진의 정의 사진은 화합물이 빛의 작용으로 변화하는 반응을 응용해서 건판이나 필름 인화지 등에 방사 에너지를 작용시켜 대상물체의 영상을 만드는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옵스큐라의 원리를 발전시킨 카메라를 사용하는 방법과, 감광물질 위에 직접 물체를 놓고 노광시키는 방법(포토그램)이 있다." 1.2. 회화의 정의 회화는 서구에서는 '색을 칠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되며 동양에서는 색을 칠하지 않은 것들도 포함된다. 모두 평면 위의 선과 색에 의하여 어떤 시각형상을 그려내는 점에서는 거의 공...2024.09.18
-
사진사와 미학: 사진, 회화, 영화 비교2024.10.011. 서론 1.1. 사진, 회화, 영화의 역사와 관계 최초로 탄생한 것은 회화로, 선사시대의 벽화에서 시작되었다. 회화는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모사하는 것보다는 사물에 담긴 속성이나 진실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하지만 1820년대 이후 유럽에서 '사실주의'가 유행하면서 사람들은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담는 사진에 관심을 기울이게 된다. 사진은 '카메라 옵스큐라'라고 불리는 그림을 그리기 위한 보조적인 광학 장치에서 시작하였다. 그리고 1826년 공학자였던 조세프 니에프스가 아크릴 건판에 옵스큐라를 통해 이미지를 고정시키는 ...2024.10.01
-
보도자료2024.10.131. 보도자료 작성 시 주의사항 1.1. 단문으로 작성하기 보도자료 작성 시 단문으로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식어나 나열은 짧게 유지하며, 문장이 길면 단문으로 분리해야 한다. 예를 들어 "강릉, 동해, 삼척을 잇는 58km의 아름다운 동해안 해안선을 달리는 OO열차는 전좌석을 측면방향으로 배치하고 창문도 일반열차보다 크게 만들어 동해의 넘실거리는 파도와 드넓은 백사장을 감상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특별열차이다."와 같은 긴 문장은 "OO열차는 동해안 해안선을 달리는 특별열차이다. 열차를 타면 강릉, 동해, 삼척을 잇는 58km...2024.10.13
-
영상 미학 개론2024.10.141. 사진사와 미학 1.1. 1870~80년대 1.1.1. 한국 사진의 도입 1870~80년대에는 한국에 사진이 최초로 도입되기 시작했다. 1871년 신미양요 때 미국해병대 종군사진반이 전투현장을 기록한 사진이 한국에서 제작된 최초의 사진이었다. 또한 오경석은 1872년 청나라에서 프랑스 외교관 매휘립이 찍은 자신의 초상사진을 가지고 귀국하면서 우리나라 최초의 초상사진이 나오게 되었다. 이처럼 역관, 해외 시찰 등을 통해 사진에 대한 개념이 한국에 도입되기 시작했다. 1.1.2. 초상사진의 대두 실질적인 한국 사진사는 문헌상에 ...2024.10.14
-
영상 미학 강의2024.10.141. 들어가며 현대 사회의 과학 기술이 발전하게 되면서 사진과 영상매체는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남녀노소 누구나 핸드폰을 가질 수 있는 시대가 되면서 사진을 찍는 것에 조건 없는 사회가 되었다. 또한 그에 따라 SNS가 활성화 되면서 계정만 있다면 언제 어디서든 장소와 나이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이 찍은 사진을 업로드 하고 다른 사람의 사진을 볼 수 있다. 또한 1인방송의 대 유행, 영상 플랫폼의 대거 등장으로 직접 구상한 컨텐츠를 영상으로 제작하여 자신만의 방송을 시작할 수 있다.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자신을 남기고 싶어 한다....2024.10.14
-
사진사와 미학2024.10.201. 사진술의 발전과 사진술의 영향 1.1. 서론 우리는 사진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무엇을 떠올릴까? 카메라, 퓰리쳐 상, 외국의 유명한 작가들과 그들의 작품들을 먼저 떠올리는 것이 대부분일 것이다. 아마 사진술을 처음 발견하고 발명한 사람들이 외국의 사람이며 한국에서는 사진작가, 사진을 크게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한국의 사진역사 전개는 서양과는 다른 독자적 과정으로 이뤄졌다. 포토그라피(Photography)를 새로 번역하지 않고 사진(寫眞, 베낄 사/참 진)이라는 말의 전통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제 강점시대와 전...2024.10.20
-
사진, 회화, 영화의 공통점과 차이점 분석2024.09.251. 서론 1.1. 사진, 회화, 영화의 역사와 관계 사진, 회화, 영화의 역사와 관계는 다음과 같다. 회화가 가장 먼저 등장했는데, 선사시대의 벽화에서 그 시작을 찾을 수 있다. 회화는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모사하기보다는 사물에 담긴 속성이나 진실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그러나 1820년대 이후 유럽에서 "사실주의"가 유행하면서 사람들은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담는 사진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사진은 "카메라 옵스큐라"라고 불리는 그림을 그리기 위한 보조적인 광학 장치에서 시작하였고, 1826년 조세프 니에프스가 아...2024.09.25
-
사진사와 미학2024.09.291. 서론 우리는 사진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무엇을 떠올릴까? 카메라, 퓰리쳐 상, 외국의 유명한 작가들과 그들의 작품들을 먼저 떠올리는 것이 대부분일 것이다. 아마 사진술을 처음 발견하고 발명한 사람들이 외국의 사람이며 한국에서는 사진작가, 사진을 크게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한국의 사진역사 전개는 서양과는 다른 독자적 과정으로 이뤄졌다. 포토그라피(Photography)를 새로 번역하지 않고 사진(寫眞, 베낄 사/참 진)이라는 말의 전통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제 강점시대와 전쟁, 독재의 과정을 모두 겪은 한국 근대사...2024.09.29
-
사진사와 미학: 사진, 영화, 회화의 차이2024.09.291. 사진과 회화의 차이점과 공통점 1.1. 사진과 회화의 정의 사진이란 물체의 형상을 감광막 위에 나타나도록 찍어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게 만든 영상이다. 물체로부터 오는 광선을 사진기 렌즈로 모아 필름과 건판 따위에 결상 시킨 후에 이것을 현상액으로 처리하여 음화를 만들고 다시 인화지로 양화를 만드는 것이다. 사진이란 그리스어의 'graphien'(그리다)와 'photos'(빛)의 합성어로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물의 빛을 기록하고 표현하는 전 과정을 일컫는다. 다시 말해 사진은 빛에 민감한 필름 위해 피사체의 순간을 포착해서 잠...2024.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