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개
-
싸이코패스2024.09.191. 사이코패스의 정의와 특징 1.1. 반사회적 성격장애와 사이코패스의 차이 반사회적 성격장애와 사이코패스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반사회적 성격장애자들은 조직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업무수행의 미숙 또는 상관이나 동료들과의 문제를 자주 야기한다. 이들은 자신의 행동에 문제가 있다는 점을 깨닫지 못하기 때문에 상담치료가 어렵다. 반면, 사이코패스는 일종의 심리 특질로서 폭력적이며 광기적인 인격장애 측면에서의 정신병질을 의미한다. 사이코패스와 반사회적 성격장애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반사회적 성격장애 진단이 피검사자의 사회 일탈...2024.09.19
-
학술지 논문1편을 읽고, 배운점, 유의미하다고 생각한점2024.09.291. 반사회성 성격장애 1.1. 반사회성 성격장애의 개념 반사회성 성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PD)는 청소년기에 다른 사람의 권리를 무시하고 침해하는 품행장애를 나타낸 전력이 있고, 매우 무책임한 행동과 타인에게 위협이 되는 행동을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지속하는 양상을 보인다. 반사회성 인격장애는 두 가지 주요한 요소를 포함한다. 첫째, 15세 이전에 품행장애(conduct disorder)가 있는 것이다. 무단결석, 가출, 빈번한 거짓말, 절도, 방화 그러고 고의적인 기물파괴 등이 품행장...2024.09.29
-
범죄와 범죄심리 기말2024.09.291. 서론 1.1. 살인사건에 대한 사회적 충격 21세기 대한민국 사회에서 발생한 강호순 연쇄살인사건, 서울 강서구 PC방 살인사건 등 많은 살인사건이 큰 충격과 공포를 가져다주었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연간 300건 이상의 살인사건이 꾸준히 발생하였다. 이 중 일부 살인사건은 그 사건의 심각성과 잔혹성 등의 이유로 여전히 많은 사람의 기억 속에 남아있다. 300여 건의 살인사건들 중 일부의 살인사건들이 여전히 대한민국 사회 속에서 회자되는 것은 가해자와 피해자가 누구였는지, 사건이 언제 발발하였는지, 그리고 어떠한 방식...2024.09.29
-
종의 기원 정유정2024.11.011. 소개 작품 '종의 기원'은 정유정 작가의 신작으로, 기존의 작품들과 달리 사이코패스인 주인공 유진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전개한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는다.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인간의 내면 깊숙이 자리한 "어두운 숲"을 직시하고 이해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유진은 자신이 사이코패스라는 것을 인정하고 있으며, 타인의 고통과 두려움을 즐기는 인물로 묘사된다. 그의 내면을 들여다보면 "인간을 평가하는 기준도 하나일 뿐이라고", 즉 자신에게 이로운지 해로운지가 유일한 판단 기준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처럼 타인의 고통에 무감하...2024.11.01
-
범죄와 범죄심리2024.11.201. 청소년 범죄와 성범죄 1.1. 청소년 범죄의 증가 청소년 범죄의 증가는 근래 들어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2018년 하반기부터 2020년 3월 현재까지 텔레그램 등 SNS를 통한 성범죄 유포 사건인 "N번방 사건"에서 65명의 10대 가해자가 검거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해자의 연령대 중 두 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범죄의 주체가 아동·청소년이라는 점에서 큰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범죄학자들은 이처럼 최근 청소년 범죄가 증가하는 이유로 '촉법소년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촉법소년'이란 10세 이상 ...2024.11.20
-
뇌로통하다 감상문 독후감2024.10.171. 소개 이 책들은 각각 강박장애, 사이코패스, 인간의 인지 과정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강박에 빠진 뇌 독후감에서는 강박장애의 원인과 치료법에 대해 설명한다. 저자는 강박장애가 뇌의 특정 영역의 기능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주장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4단계 행동 치료법을 제시한다. 이 치료법은 강박사고와 행동을 재명명하고, 재귀인, 재초점, 재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강박장애를 관리하고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 책은 강박장애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사이코패스 뇌과학...2024.10.17
-
스토킹 반성문2024.09.011. 범죄와 범죄 심리 1.1. 여성 대상 범죄 1.1.1. 스토킹 스토킹이란 특정인을 괴롭히거나 협박하는 등 지속적으로 추적 및 감시하는 행위를 말한다. 스토킹은 피해자의 일상생활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하고, 정신적·신체적 피해를 줄 수 있는 중범죄로 간주된다. 서울송파경찰서는 방송사 미팅프로그램에서 만나 알게 된 임모양이 만나주지 않게 되자 이메일과 휴대폰 등을 통하여 협박을 하거나 집, 직장 등을 따라다니며 괴롭힌 최모씨에 대하여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위한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하였다. 또한 서울마포경찰서는 10여 ...2024.09.01
-
범죄와 범죄심리 강의 내용 족보2025.03.101. 범죄와 범죄심리 1.1. 범죄는 왜 발생하나? 범죄는 자기억제력의 상실, 마인드 컨트롤의 실패, 악마성의 분출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연쇄살인, 패륜범죄, 사이버테러, 아동 유괴/살인, 첨단범죄, 성폭행 등 다양한 범죄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일탈'은 어떤 유형의 행동이 한 특정 시대, 특정 사회의 규범에서 벗어나는 상황을 가리킨다. 즉, 부정적으로 평가되는 규범이나 규칙 위반을 의미한다. 범죄는 상황과 상관없는 절대적인 개념이 아니라 시대와 장소에 따라 양적, 질적으로 끊임없이 변화해 갈 수밖에 없는...2025.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