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근로기준법과 노동조합법상 근로자 개념 비교, 정신건강 관련 기사 분석, 성의 발달 단계별 수행과업2024.10.011. 근로자 개념 비교 1.1.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개념 1.1.1. 법률의 규정 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1호는 근로자를 '직업의 종류와 관계없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이나 사업장에서 근로를 제공하는 자'로 정의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는 종사하는 직업의 종류와 상관없이 성립된다. 즉, 정신노동, 육체노동, 사무노동의 구별도 문제가 되지 아니하며 상용, 일용, 임시직, 촉탁직 등 근무형태나 직종, 직급 등이 근로자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지 아니한다. 또한 사업이란 하나의 활동주체가 유기적 관련 아래 업으로서...2024.10.01
-
노무관리업무2024.08.291. 서론 헌법 제32조에서 명시한 '근로의 권리와 의무를 지닌 국민' 또는 제33조에서 명시한 '근로자'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하여는 헌법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지 않다. 다만 대표적으로 근로기준법과 노조법이 '근로자'의 개념에 대한 직접적인 규정을 두고 있으며, 각기 다른 정의를 내리고 있다. 이로 인해 헌법상의 근로자와 노조법상의 근로자가 동일한 개념인지 또는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와 노조법상 의 근로자가 동일한 개념인지 아니면 다른 것인지 문제가 된다. 2.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의 개념 2.1. 근로자의 정의 근로기준법 제...2024.08.29